earticle

논문검색

불연속적 ‘빈 공간’으로서의 ‘귀/녀’ – 전기 <최치원>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정체성론

원문정보

The identity of female characters appeared in <Choi Chi-Won> – The 'Ghost-woman' as an 'empty bowl' asking a question about the world

김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discuss identity of female characters appeared in . The existing debates assumed Pallang and Gurang as objects in which resistance or desire of the deprived intellectual is expressed or as the subjects that understand the author himself. However, it fails in showing completely who and what they are. They are 'things' both existential and non-existential in the narrative world. Though having a shape of a woman, they are 'things' holding a layer and extension different from those of 'woman' of 'man and woman' used to refer to a bachelor(Doryeong) Lee and Chunhyang. This paper asks about such an issue, in other words, what is 'Ghost-woman', a main character of . In order to explore the identity of the 'Ghost-woman' in , this paper discusse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Chuanqi傳奇(novel) in the early period, status and psychology of male writers who needed a Chuanqi傳奇’s style, questions about the world they had and discovery of the Ghost-woman character as the cultural severed space in order. As a result, Pallang and Gurang of are asexual borderline and the third performative personality created by the male author while making use of the 'Chuanqi傳奇' of a new style. Ultimately, they are things 'discovered' by the author as the literary ego asking a question about the world. Taoist Zhiguai志怪 narrative enjoyed before biographies had an effect on the origin of the Ghost-woman character. Enjoyment method of the new-styled biographies rising in the Táng Dynasty, and status and psychology of biography writers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selecting a hero and a female character and depicting the 'Ghost-woman' as an 'empty bowl' asking a question about the world. This discussion referred to a concept of self-object by Heinz Kohut and the gender theory by Judith Butler.

한국어

본 논문은 <최치원>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이다. 기존논의에서 팔랑 구랑은 불우한 지식인의 저항이나 욕망이 가탁된 대상, 혹은 작가 자신을 이해해주는 주체로 보았다. 그러나 이것은 그녀들이 무엇인지, 누구인지 온전히 드러내지 않는다. 그녀들은 서사세계 안에서 존재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존재하는 ‘무엇’이다. 여성의 형상이지만, 이도령과 춘향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양식화된 이분법으로서의 ‘남녀’의 ‘녀’와는 층위와 외연이 다른 ‘무엇’이다. 이 글은 바로 이 문제, 즉 <최치원>의 중심인물 ‘귀/녀’는 무엇인지를 묻고 있다. <최치원> 속 귀/녀의 정체성을 궁구하기 위해, 발생기 전기(소설)의 문체적 특징, 전기적 문체를 필요로 했던 남성 작가들의 지위와 심리, 그리고 그들이 품었던 세상에 대한 의문들과 그것을 담기 위한 문화적 단절 공간으로서의 귀/녀 캐릭터의 발견을 순차적으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최치원>의 팔랑 구랑은 남성 작가가 새로운 문체인 ‘전기’를 구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낸 무성적 경계역이고 수행적 제3의 인격이다. 궁극적으로 그녀들은 작가가 세상에 대한 질문을 수행하는 문학적 자아로 ‘발견’한 것이다. 귀/녀의 인물 기원은 전기 이전에 향유된 도교적 지괴서사가 영향을 미쳤다. 남성주인공과 여성인물을 선택하고 세계에 대한 질문을 담는 ‘빈 그릇’으로 ‘귀/녀’를 그려내는 과정에서는 당대(唐代) 새롭게 부각된 신 문체인 전기의 향유방식과 전기 작가들의 지위와 심리가 관여하였다. 논의 진행 과정에서 하인즈 코헛의 자기대상 개념과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이론이 참고가 되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며: <최치원>과 여성 인물
 Ⅱ. 남성 문인의 신(新) 문체 전기(傳奇)와 무성적 경계역 ‘귀/녀’
 Ⅲ. 세계에 대한 질문을 수행하는 문학적 자아, <최치원>의 ‘귀/녀’
 Ⅳ. 나가며: 불연속적 ‘빈 공간’으로서의 귀/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연 Kim, Sooyoun.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