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사회갈등의 요인들에 대한 화해의 기독교 교육적 모색

원문정보

Educational Seeking in Christianity of Reconciliation for the Elements Causing Social Conflict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강문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n era called “global village” where most of the global citizens live in one living space thanks to the amplified development of media. The world has been narrowed and got closer to people, which is interpreted that people living in far countries can get to know each other more than before. While people dealt with others in indirect relationships in the past, the world has been changed to be the one that needs to be recognized as a must that constitutes our existence. Understanding others contains the meaning to approach to the others within the framework of understanding of ourselves. This category of understanding can vary by the situations of us who want to understand and the others who need to be understood. Such stances of each other can cause conflicts due to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nd such conflicts can be brought to an end by reconciliation. These conflicts and reconciliation can be emerged as a subject that leads to social conflicts and reconciliation beyond the level of personal understanding. The South Korean society, celebrating the 71st anniversary of National Liberation this year, is experiencing conflicts in the overall society and with the North Korean society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where the basic rules of human relations, lifestyles and relevant changes collid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discord between the religions as well as the social classes is developing deep conflicts in the current South Korean society. The discord and division can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people involved as well as the people around them with few more or less differen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reconciliation as the key subject to be seriously discussed in the modern South Korean society as well as in the church. While, the South Korean churches are deemed to achieve a rapid growth blessed by the God as the whole world is watching, it has been a subject of social criticism due to such a lot of affairs as denomination schism. Although there are supersized mega-churches and large congregation, they have had a passive attitude on the social conflicts and a mindset that is the basics of the religious belief of individual salvation, which neglected the social issues based on the principle focusing on church individualism, and failed to be proactive in reconcil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regions and social classes in the current society. It is concluded that the South Korean churches and the congregation need to take it seriously that the churches are not only deeply involved in the social conflict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but also have the responsibility of being a reconciler. The conflict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re not only the universal matters identified in the current society but also regarded as serious challenges to the Christians to face with a situation where their religious life and identity are threatened. Such challenges and demands of the current society make the Christians take it seriously to reestablish the corresponding identity of Christianity. Based on the above,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messages of reconciliation based on Christian education on the issues that the South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including the religious issues, the inter-Korean issues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social classes according to income distribution. This paper mentioned the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onflicts commonly contained by the three key subjects, and stuck to the stance of Christian education to draw a conclusion of reconciliation.

한국어

현대사회는 세계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나의 생활권으로 살아가는 지구촌이라 일컬어지는 시대가 되었다. 이로 인하여 세계는 좁아지고 가까워지게 되었고, 이것은 멀리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상대방에 대하여 이전보다 더욱 많이 알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상대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해의 틀 안에서 상대방에게 다가간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 이해의 카테고리는 이해하기를 원하는 본인과 이해되어져야할 상대방이 어떤 상황이냐에 의해 다양하게 좌우될 수 있다. 이들 쌍방의 입장은 이해와 인식 부분에 의하여 갈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갈등은 화해로 결말을 지을 수 있는 소지가 된다. 그리고 이 갈등과 화해는 개인적인 이해의 차원을 벗어나 사회의 갈등과 화해로 이어지는 주제로 등장될 수 있다. 광복 71주년을 맞은 현대 한국사회는 가치관과 규범체계, 그리고 인간관계의 기본질서와 생활방식이나 그 내용의 변화 등이 서로 부딪치는 역사적 전환기를 맞이하여 사회문화 전반과 남북 간에 갈등을 겪고 있다. 이 뿐 아니라 종교 간의 갈등을 비롯하여 계층 간의 불화는 현 한국사회에 깊은 갈등의 골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갈등에 의한 불화와 분열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당사자를 비롯하여 주변 사람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화해는 현대 한국사회 뿐 아니라 교회에서도 심각하게 고려하여 다루어져야할 핵심적인 주제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은혜로 세계가 주목할 만큼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에 와서 교파분열을 비롯하여 많은 사건들로 인하여 교회에 대한 사회의 공신력과 신뢰도는 땅에 떨어질 대로 떨어져 거의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머물면서, 끊임없는 사회의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리고 슈퍼 사이즈의 대형교회와 많은 신자들이 있으나, 그들은 사회적 갈등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와 개교회 중심주의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에 관심을 도외시한 개인 구원주의 신앙의 기초에 형성되어 있는 마인드와 더불어 현실사회의 지역 간 계층 간 갈등의 화해에 적극적이지 못했다. 한국교회와 성도들은 오늘날 불거져 있는 한국사회의 사회적 갈등에 교회가 깊이 관계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화해자 역할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진지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사회 갈등현상은 현대사회에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문제일 뿐 아니라, 그 속에서 크리스챤들로 하여금 신앙적 삶과 신앙의 자아정체감마저 위협받는 상황으로 접어들게 하는 심각한 도전으로 다가와 있다. 이 같은 현대사회의 도전과 요구는 기독교인들에게 이와 상응하는 기독교 신앙의 정체성에 대한 재정립을 진지하게 고려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한국사회가 처해 있는 종교와 남북문제 그리고 소득분배에 의한 계층 간의 갈등에 대하여 기독교교육에 근거한 화해의 메시지를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세 가지 핵심적인 주제들이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갈등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언급하고, 화해라는 결론으로 이끄는 것에 기독교교육적인 입장에서 견지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갈등에 대한 개념적 이해
  1. 갈등의 어원적 의미
  2. 갈등의 사회학적 측면
  3. 갈등의 신학적 이해
 III. 화해에 대한 성경적 개념 이해
  1. 구약성경의 화해개념
  2. 신약성경의 화해개념
  3. 성경적 화해개념의 핵심
 IV. 현대 한국사회의 갈등요인들
  1. 종교 간의 갈등 : 개신교와 타종교들 간의 갈등
  2. 남북 간의 갈등 : 상황과 문제점
  3. 소득분배에 의한 계층 간의 갈등
 V. 한국 사회갈등의 요인들에 대한 화해의 기독교 교육적모색
  1. 커뮤니케이션과 스토리텔링에 의한 기독교교육
  2. 평화교육을 위한 기독교교육
  3. 이웃사랑을 위한 기독교교육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문규 Kang, Moon-Kyu. 안양대학교 교수, 실천신학, 기독교 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