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current stat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young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5 teachers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four major cit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4 questions on teachers’ perception of needs, factors, and limitations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urrent state of education time and educational activities, family-involved education method and content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eachers’ perception with regard to the interest and need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as very high. But their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execution of the actual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found to be relatively low. Secon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as running on 1-2 times per week in their institution. Moreover, creativity educa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teachers were music and fine arts, block building activities,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etc. Activities of character education conduct were collaborative learning, examples in good words and deeds of teachers, role playing, and family-involved education. Third, teachers perceived the need of family involved education highly. Educational method for parents presented teachers’ letters and single-session special lectures for parents. Also, the parents educational program included parents’ emotional support and acceptance attitud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educational guidelines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activat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인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4개 대도시 지역 소재 22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45명이며, 교사 인식 및 실태 설문지는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였으나 창의·인성 교육의 실제에 대한 이해도 및 실행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이해도에서 유치원 교사보다 더 높은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창의·인성 교육 실행에 대한 만족도는 유치원 교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임교사에 비해 고경력 교사가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 실태는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을 각각 주 1~2회에 실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창의성 교육의 활동유형으로는 음악 및 미술 등 예술활동, 블럭만들기, 신체표현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의 활동유형으로는 협동학습, 교사의 모델보이기, 역할놀이, 가정연계교육 순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가정연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사 전체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모교육 방법으로는 가정통신문 활용 및 특강을 제시하였으며, 부모교육 내용으로는 부모의 정서적인 지원 및 수용적 태도, 창의·인성 교육방법, 가정의 창의·인성 교육환경 구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인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방향 제시와 유아교육 현장의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창의ㆍ인성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유아 창의·인성 교육 연구 동향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방법
4. 자료 처리
Ⅳ. 연구결과
1. 창의ㆍ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2. 창의 인성교육 운영 실태
3. 가정연계 창의·인성 교육 필요성 인식 및 요구
Ⅴ. 결론 및 제언
1. 유아교사의 창의ㆍ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수준
2.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인성교육의 실태
3.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가정 연계 창의·인성교육의 필요성 및 부모교육방안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