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echnical adequacy of vocabulary-matching Curriculum-Based Measurement(CBM) in a content class of assessment for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In a class of special educ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a total of 42 pre-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the alternate-form reliability and criterion validity were evaluated, and sim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predictive validity of vocabulary-matching CBM to the traditional academic achievement tests(i.e., mid and final exa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ocabulary-matching CBM were adequate, supporting the evidence of technical adequacy of the CBM.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group differences on their CBM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divided into three groups: (1) low, (2) mid, and (3) high according to their final grades.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low and high groups. Third, the pre-teachers were positively evaluated the use of vocabulary-matching CBM to monitor their progress in their assessment class and possible use of it in future class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s at the university level, and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ork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예비특수교사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주요 과목 중 하나인 과목인 진단평가 수업에서 어휘-선택 CBM을 적용해 봄으로써 예비교사교육에서 CBM의 활용 가능성 여부에 대하여 역량 강화 측면과 측정학적 적합성을 탐색해 보는데 있다. 경기도에 위치한 A 대학교에서 특수교육과에 개설된 ‘특수아 진단 및 평가’ 수업을 수강한 예비교사 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CBM과 전통적인 학업성취 검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동형검사 신뢰도, 준거 타당도 및 예측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최종 성취 점수를 기준으로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측정 주기 후반부(5회기)이후로 상, 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학기 종류 후, 예비특수교사에게 교과목 학습에 도움 정도 및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해 설문을 통해 알아본 결과, 예비교사교육에 긍정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활용가능성에 대해서도 높게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예비교사교육에서 CBM의 적용 가능성과 후속연구 및 현장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검사도구
3. 검사절차
4.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 결과 및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 검증
2. 어휘-선택 CBM의 측정학적 적합성
3. 어휘-선택 CBM 활용 수업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만족도 및 인식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