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 평가와 교사 전문적 자본의 관계 분석 :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Teacher Evaluation and the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 Focused on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

이승호, 김근진, 김민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 evalu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While previous studies are analyzing teacher's professional improvement distinguishing a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this study is analyzing teacher's professionalism based on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s a research method, school fixed effects model is used and independent variable (feedback) is analyzed in two ways (subjects of evaluation, types of evalu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evaluations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which is irrespective of professional capital areas and teacher's experiences. Second, concerning subjects of evaluation, they mostly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However, feedback from external schools doesn'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ocial capital. Third, concerning types of evaluation, feedback about the self-assessment of work (teacher's portfolio) and the subject's knowledge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capital. On the other hand, evaluation from a review of students' test scores doesn'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capital at all. Last, expectation of incentives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on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평가와 교사 전문성 신장과의 관계를 전문적 자본의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개인, 집단으로 각각 분석하였던 것에 반해, 전문적 자본이라는 틀을 사용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경력에 따라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으로 분석한 특징이 있다. 연구 방법은 학교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였는데, 독립변수인 교사 평가의 경우 교사 평가 전체, 평가 주체와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에 대한 평가는 교사의 경력에 관계없이 전문적 자본의 전 영역과 유의미하게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주체의 경우, 대체적으로 교사의 전문적 자본 증진과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정적이었다. 그러나 학교 외부의 평가와 교사의 인적, 사회적 자본 증진과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못했다. 셋째, 평가 방법의 경우, 교과지식 및 포트폴리오에 의한 교사 평가는 전문적 자본 증진에 긍정적인 반면, 학생 서베이 및 학업성취도에 의한 교사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을 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센티브에 대한 기대가 있는 교사의 경우, 전문적 자본 증진에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 평가
  2. 전문적 자본과 교사 전문성
 Ⅲ. 분석방법
  1. 분석자료
  2. 변수선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
  2. 교사 평가와 교사 전문적 자본의 관계
  3. 교사 평가가 경력별로 전문적 자본과 가지는 관계
  4. 교사 평가의 주체, 방법에 따라 전문적 자본과 가지는 관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호 Lee, Seung Ho. 서울대학교 박사수료
  • 김근진 Kim, Keun Jin.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김민아 Kim, Min Ah. 연세대학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