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Seoul Fashion Week aimed to Strengthen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초록
영어
Fashion week, held twice a year,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a n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and diagnoses Seoul Fashion Week with the aim of proposing way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and contribute to its development. This study takes a theoretical look at the Korean fashion industry and major overseas fashion weeks based on findings from academic literature, online documents, and daily and monthly press articles. The study shows that first, a central organization is needed. Second, the active and systematic suppor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and organizations is required. Third, the global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with its rich K-pop and entertainment contents should be actively used to reinforce the image and brand of Korean fashion. Fourth, a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Korean fashion can respond and react swiftly to the ever-shifting parameters of the fashion industry. Finally, designers and brands should build house archives that reflect their unique identity and history. To strengthen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provide it with immediate and ongoing support within a practical and coherent legal and systematic framework.
한국어
일 년에 두 번씩 개최되는 패션위크는 패션산업의 매개체이자 원동력이며 국가의 산업경쟁력과 지역의 활성화, 시장경제 촉 매체의 역할 등 다양한 의미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국가 브랜드로서의 서울 패션위크를 조사 진단하여 한국패션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자료와 인터넷 자료, 신문 기사 등을 참고로 하여 한국의 패션산업과 서울 패션위크, 그리고 해외 주요 4대 패션위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11년에서 2016년으로 제한하였으며 연구 주제의 특성상 선행 연구 및 실증적 자료들이 극히 제한되어있어 연구에 많은 한계점이 있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정책 제안 형 단체가 절실하며 이를 통해 디자이너, 그룹, 정부는 통합 개최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 정부와 지자체, 관련 단체들의 지속적이며 일관된 정책 및 예산 지원이 필요하고, 사전 분석을 통해 중장기적인 인프라에 제대로 투자해야 한다. 셋째, 세계적인 영향력과 파급력을 지닌 한류, K-Pop과 다양한 콘텐츠를 적극 활용하여 서울 패션위크만의 독자적인 국가 브랜드로서의 이미지 및 정체성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IT강국 한국의 발전된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 유통, 판매, 피드백 공유, 수출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 구축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이너와 브랜드는 고유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반영하는 하우스 아카이브 구축에 힘을 써야한다. 한국 패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합리성과 일관성을 도모해 법적, 제도적 울타리를 만들어 서울 패션위크에 대한 지속적이며 즉각적인 지원, 육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한국 패션산업에 대한 고찰
2.1. 한국 패션산업의 현황 및 특징
2.2. 한국 패션산업의 주요 정책 (2011-2016)
3. 서울 패션위크에 대한 고찰
3.1. 서울 패션위크의 형성배경 및 변천과정
3.2. 서울 패션위크의 현황 및 특징
4. 해외 4대 패션위크 사례 분석
4.1. 해외 패션산업의 현황 및 특징
4.2. 해외 4대 패션위크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