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Career-Inturrupted Married Women in Thirties

여숙현, 김명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problems and issu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were emerging as major social agenda in modern general and female society. This study modified and restructured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and intended to testify the effects of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areer discontinued married women in thirties. The subjects were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in thirties living in J city, who ha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ir children and applied to our study with 3 groups. 45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REBT Group), control group1(education group for vocational counselor) and control group2(general parental education group) by the number of 15. To assess effects of 3 groups,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of REBT group showed more self-efficacy, social efficacy and total self-efficacy scores than them of 2 control groups. And they had tendency to have more sense of reality, preparedness and total career attitude maturity scores. It seems that REBT career counseling program changed their irrational beliefs into rational beliefs about course and career, increasing their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meaning, limitation and future tasks were discussed.

한국어

최근에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와 사회참여에 대한 문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고,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에게 REBT 이론을 적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 및 실시하여,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초등학교 자녀를 둔 30대 경력단절 기혼여성 45명이었다. 본 연구에 지원한 45명을 상담집단(REBT 집단), 통제집단1(일반부모 교육 집단)과 통제집단2(직업상담사 교육집단) 3집단에 각 15명씩 무선배정하고 사전-사후 비교를 실시했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와 진로태도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 사회효능감, 자기효능감(전체) 등이 사후에 증진되었다. 또한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도의 현실성, 준비성, 결정성, 진로성숙도(전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진로와 경력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자기효능감과 30대 여성의 진로 및 경력
  2.2 진로태도성숙과 30대 여성의 진로 및 경력
  2.3 REBT 진로 집단상담의 재구성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사전 동질성 금증
  4.2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비교
  4.3 진로태도성숙도의 사전-사후 비교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

저자정보

  • 여숙현 Suk-Hyun Yeo. 전주대학교
  • 김명식 Myung-Shig Kim. 전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