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12 hours fasting resistance exercise on metabolic efficiency and fatigue of middle-aged female for 8 weeks. 50 middle-aged female target group pre-test exercise group(EX) and the control over the homogeneity in the control group(CON)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group(EX) is maintained after 8 weeks four times weeks 12 hours fasting resistance was performed for 60 minutes, the control group(CON) were compared to a normal life with the group of the exercise group(EX). Resistance applied to the exercise group(EX) were using free weights and a fixed mechanism appli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body exercise program for heart muscle, exercise intensity based on the 70% 1RM until 4 weeks, 5-8, which was performed by the aid program set to 80%. Through this procedure were as follows. First, 12 hours fasting resistance exercise showed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 effect in metabolic efficiency, blood pressure(SBP, DBP), fat, fasting glucose, fasting insulin(p<.01). Second, 12 hours fasting resistance exercise showed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 treatment program in which lactic acid, uric acid(p<.01).
한국어
본 연구는 8주간 12시간의 공복을 유지한 후 저항운동을 통해 대사효율성과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사전 동질성 검정을 통해 운동군(EX)과 대조군(CON) 두 집단으로 구분 선정하였다. 운동군(EX)은 8주간 주 4회 12시간 공복 유지 후 60분간의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CON)은 운동군(EX)의 비교군으로 일반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운동군(EX)에 적용된 저항운동은 상체와 하체를 중심으로 하는 프리웨이트와 고정식 기구를 사용하여 대근육 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운동 강도는 1RM을 기준으로 4주까지는 70%, 5-8주는 80%로 설정하여 처치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8주간의 공복저항운동 전과 후의 안정 시에 혈액채취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통계와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한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대사효율성 변인인 혈압(SBP, DBP), 지방, 공복혈당, 공복인슐린에서 처치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1). 둘째,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피로물질 변인인 젖산, 요산에서 처치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1).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8주간의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대사효율성 및 피로물질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2.2 처치프로그램 및 절차
2.3 자료처리
3. 연구 결과
3.1 공복저항운동의 대사효율성
3.2 공복저항운동의 피로물질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