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음악치료사의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원문정보

A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Music Therapist's Experiences of Vocal Psychotherapy

문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voc al psychotherapy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and bring about the essences and meanings of vocal psychotherapy. Seven music therapis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gathered through semi-constru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2009).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132 meaningful units, 28 sub–components(sub-categories) and 5 components(categories) can be drawn. The 5 components were ’various emotions-induced‘, ‘meaningful experience about self-discovery and self-reflection’, ‘therapeutic power of voice as nonverbal method’, ‘personal growth’, ‘professional growth’. The experiences of vocal psychotherapy used tool that provided stability and comport, strengthened free and sense of freedom. And the experiences of vocal psychotherapy had a role of supportive tool to stir up a emotional expression freely that showed the way to the process of therapy and reduced resistance to therapy, The experiences of vocal psychotherapy for music therapist is the essential experiences for personal growth as well as professional growth.

한국어

본 연구는 성악심리치료를 경험한 음악치료사와 음악치료 인턴의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성악심리치료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도출해내어 심리치료 방법으로서 성악심리치료의 효과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사와 음악치료 인턴 일곱 명을 심층 면담하여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내용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지오르지(Giorgi, 2009)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의미단위를 추출해 내어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고 성악심리치료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찾기 위해 변형된 의미단위들을 구조로 통합하였다. 분석 결과 132개의 의미단위가 추출되었고, 28개의 하위 범주(하위 구성요소)와 5개의 범주(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5개의 범주(구성요소)는 ‘다양한 감정 유발’, ‘자신을 발견하고 성찰하는 의미 있는 경험’, ‘비언어적인 도구로서 목소리의 치료적인 힘’, ‘개인적 성장’, ‘전문가적 성장’으로 나타났다. 성악심리치료의 경험은 심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고 자유로움과 해방감을 강화시키는 도구로 사용되어 치료에서 오는 저항을 줄여 치료 과정으로의 안내를 돕는 지지적인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클라이언트에게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음악치료사에게 이러한 성악심리치료의 경험은 개인적인 성장 뿐 아니라 전문가적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II.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4.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
 III. 연구결과
  1. 의미단위 구분
  2. 학문적 용어로의 변형
  3. 구조로의 통합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지영 Moon, Ji-Young.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