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魏晉시대 甘肅지역 안료와 회화 표현법의 分化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Wei & Jin Dynasty GanSu(甘肅) province Pigment and Differentiation of Painting Expression Way

위진시대 감숙지역 안료와 회화 표현법의 분화에 관한 연구

金炳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reviewed the aspects of pigments formed in Wei & Jin Dynasty GanSu province, i.e. types of pigment, pigment producing area, trade base of pigment,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tiation of expression way and change aspect that were developed under such pigment supply and demand base. As the result of review, Wei & Jin Dynasty GanSu region was determined to be supplied with much more various types of pigments compared to Han Dynasty. Han Dynasty GanSu region pigment did not show basic difference from Central Districts pigment, however lots of pigments that had not appeared in Central Districts appeared in Wei & Jin Dynasty. Producing area and origin of pigment also was expanded to the western districts as Afghanistan, etc. besides Central Districts, some of them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directly in GanSu region. Pigment trade closely related to pigment supply and demand can be partly confirmed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 and excavated relics, particularly, expansion of trade base of Sogdian merchants formed in Wei & Jin Dynasty GanSu region could be understood in respect of under which situation development of pigment supply and demand base was expanded. Lots of change appeared in respect of arrangement of picture image, drawing and coloring expression method, etc. as the expression medium burial chamber mural greatly increased uncomparable to the previous period under the expansion of pigment supply and demand base. While continuing the expression method of Central Districts which was accepted and developed during Han Dynasty, the expression methods such as rough croquis drawing and touch coloring method, and the expression method to arrange a picture image on one brick, etc. were established as the types of expression methods.

한국어

본 논문은 위진시대 감숙지역에 형성된 안료 수급 양상, 즉 안료 종류, 안료 산출지, 안료 교역 및 교역 기반 등을 검토하고, 그러한 안료 수급 기반 하에서 전개된 표현법의 분화 및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검토 결과 위진시대 감숙지역은 漢代에 비해 훨씬 다양한 종류의 안료가 수급된 것으로 나타난다. 한대 감숙지역 안료는 중원지역 안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위진시대에는 중원지역에서 출현시키지 않은 상당수의 안료를 출현시킨다. 안료의 산출지 및 래원지도 중원 및 남방지역 뿐만 아니라 아프카니스탄 등 서방으로 확대되고, 일부는 감숙지역에서 직접 생산된 경우도 예상할 수 있게 한다. 안료 수급과 밀접하게 연관된 안료 교역에 관하여는 문헌기록과 출토 유물을 통해 일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위진시대 감숙지역에 형성된 소그드 상인들의 교역 기반 확대는 안료 수급 기반의 확대가 어떠한 상황 하에서 전개된 것인지를 설명해준다. 안료 수급 기반의 확대 하에서 묘실벽화라는 표현매체가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크게 증가하며, 주제, 도상 배치, 선묘 및 채색 표현법 등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 한대에 수용, 발전시킨 중원지역 표현법을 지속하면서도 거친 크로키식 선묘와 터취식 채색법, 그리고 하나의 벽돌에 하나의 도상을 배치하는 표현법 등이 감숙지역 표현법의 하나로 전형화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안료의 종류
 Ⅲ. 안료의 산출지
 Ⅳ. 안료의 교역과 교역 기반
 Ⅴ. 회화 표현법의 分化
 Ⅵ.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金炳模 김병모. 동국대 미술학과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