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철학상담치료에서 보는 신독론 - 주희의 주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rapy And Shindok Theory(愼獨論) - the interpretation of Zhu Xi-

이기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ntended to consider the mind attitude to keep mind's cut state while to the anxiety in mind and revealing the person's feeling appropriately depending on situations and objec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Chu Xi(朱熹)'s book, 'Shindok Joohae(Annotation on Right, Restrained Attitude At Being Alone)'.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reviewed the concept of' Learning by Looking at Things(格物致知)' as the premise for the right mind(正心) and considered the contents of 'Shindok Theory' for realizing the Sincerity and Right Mind. For this review and consideration, this thesis intended to prospect the possibility of ‘Shindok’ as a method to remove the anxiety in mind and to get the calm, comfortable mind(安心). In order to remove the anxiety in mind and to get the calmness & comfort in mind, one has to know even details in his/her own mind. Besides, he/she needs the power to endure external shock or recover from it. The power to recover and endure such external shock should accompany the continuity with self-reflection and self-understanding. So it is earnestly needed to firmly grasp the changeable feeling's sway or agitation. This is faithfully reflected in Chu Hsi's 'Shindok Theory'. ‘Shindok’ is a method for expanding the mind's morality and maximizes the mind's 'faithfulness'. Additionally, it penetrates even to more fundamental aspect looking into the mind's detail movements. Here, the mind's identity, spontaneity and presiding ability. What the concept of ‘Shindok’ means shows the practice trying to control even the apprehensions and obscurely anxious feeling(幾微) in the situation which the present as the human's existential situation and the non-separation situation between give rise to(已發) and the not-yet give rise to(未發).

한국어

본고는 철학상담치료의 측면에서 치심의 한 방법으로 주희(朱熹, 1130-1200)의 신독론(愼獨論)을 고찰했다. 마음의 불안을 해소하고 안심(安心)을 위한 방법으로 신독의 가능성을 전망한다. 마음의 불안 해소와 마음의 안정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 마음에 대한 세밀한 부분까지 알아야 한다. 또한 외부의 충격을 감당하거나 충격에서 회복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 이러한 회복하는 힘과 충격을 견디는 힘은 자기반성, 자기이해와 함께 지속성이 동반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가변적인 감정의 흔들림이나 동요를 견고하게 붙잡아 주는 것이 절실하다. 주희의 신독론에는 이러한 점이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다. 신독은 마음의 도덕성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의 ‘성실함’을 극대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마음의 세밀한 움직임까지 살피는 보다 근원적인 측면까지 밀고 들어가고 있다. 여기에서 마음의 독자성, 자발성, 주재성이 드러난다. 신독이 의미하는 것은 인간의 실존적 상황으로서의 현재와 이발과 미발의 미분리적 상황에서 생겨나는 의념과 기미(幾微)까지 단속하고자 하는 실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신독은 한국 사회에 많이 나타나는 분노 조절이 필요한 사람이나 마음의 불안증, 감정의 중절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많은 병리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1. 서론
 2. 마음의 중절을 위한 격물치지
 3. 성의와 신독
 4. 정심과 신독
 5.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기원 Lee giwon. 강원대 철학과 B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