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論語』의 樂 관련 개념 재해석 - 진양의 『樂書 ・論語訓義』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Reinterpretation on the Concept of Ak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 Focused on Jinyang's Akseo Noneohunui

『논어』의 악 관련 개념 재해석 - 진양의 『악서 ・논어훈의』를 중심으로 -

김수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on Noneohunui (論語訓義) in Jinyang's Akseo (樂書), which interpreted the sentences including terminology of music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investigates how Jinyang distinctively construed them. Akseo is a book on music theory which Jinyang dedicated to Hui-tsung at the end of the Song in 1103. Akseo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Hunui (訓義) of Kyeongseo (經書), and the other is Akdoron (樂圖論). Noneohunui applies to the volumes from 85 to 90, and concerns a translation of the selected sentences related to music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It covers Palil (八佾), Seonjin (先進) and Yanghwa (陽貨)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highly deal with music, and the Analects of Confucius contains over thirty sentences about music in 11 chapters of all twenty. The sentences about music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relevant to music itself, musical genre, dance, Yeak (禮樂), music pieces, musical instruments, musician and so on.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on Akseo Noneohunui through the classification by musicological thema: First, the sentences including terminology of music pieces, second, those of musical instruments, third, musicians, and fourth, Yeak. Through this paper I could comprehend that Jinyang's Akseo not only puts on both Confucian and Taoistic interpretation, but also the musicological interpretation not remaining th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Therefore Jinyang's Akseo made us deeply understand the Analects of Confucius.

한국어

이 논문은 『논어』에서 음악과 관련된 용어가 포함된 문장을 모아서 해석한 진양의『악서』 중 「論語訓義」를 분석하여 어떤 특색 있는 해석을 했는지 살펴 본 연구이다. 『樂書』는 북송 말 진양(陳暘)이 1103년에 휘종에게 헌정한 200권의 음악이론서로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경서의 훈의(訓義)이고 다른 하나는 악도론(樂圖論)이다. 이 중 「논어훈의」는 『악서』의 권85에서 권90에 해당된다. 이는 전부 『논어』에서 음악과 관련된 문장만을 뽑아내어 훈의 한 것이다. 『논어』에서 음악 관련 문장의 비중이 높은 편은 <八佾>과 <先進> <陽貨> 편이고 『논어』 20편 중 11편에 있는 30여개의 구절이 넘는다. 『논어』의 악 관련 문장이라 함은 음악 자체나 장르를 말하기도 하고 춤을 말하는 것, 예악을 함께 말하는 것, 樂曲을 말하는 것, 樂器를 말하는 것, 樂人을 가리키는 것 등 다양하다. 이 논문에서는 『악서・논어훈의』에서 다룬 내용을 대상으로 주제별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진양이 어떻게 해석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악곡 관련 용어가 들어있는 문장, 둘째 악기 관련 용어가 들어 있는 문장, 셋째 악인 관련 용어가 들어 있는 문장, 넷째 예악이란 용어가 들어 있는 문장이다. 이 논문을 통해 진양의 『악서・논어훈의』가 儒家적 해석만 아니라 老莊철학을 함께 해석하였을 뿐 아니라 철학적 해석에만 머무르지 않고 음악학적 해석을 함께 하여 『논어』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해석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악서』의 성격과 「논어훈의」의 내용
 Ⅲ. 『논어』의 악 관련 개념에 대한 진양의 해석
 Ⅳ.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현 Kim, Su-Hyeon.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