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매빈도에 따른 모바일 패션제품 구매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차이

원문정보

The Difference of the Extended TAM in Mobile Fashion Shopping according to Consumer's Purchase Frequency

채진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of the extended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explaining variables which affecte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fashion shopping according to classified consum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purchase frequency. The TAM was extended by constructing factors of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s including security, enjoyment, and personalization. The survey was limited to adults in their 20's∼30'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a mobile shopping mall. 430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high purchasers/low purchasers) based on the purchase frequency of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 variables, perceived ease of use(PEOU), and perceived usefulness(PU) between high purchaser and low purchaser. Second, The extended TAM was proved to be an acceptable model to explain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wo classified groups. Third, personalization did not influence on PU in high purchaser, while PEOU did not influence on PI in low purchaser. Other paths were significant in each group.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paths among eight paths between high purchasers and low purchasers. PEOU of high purchasers showed a higher impact on PU and PI than that of low purchasers. Personalization of low purchases had a higher impact on PU, and PU had a higher impact on PI than that of high purchas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bile marketers need to manage custome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purchase experiences.

한국어

본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구성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바일을 통해 최근 1년 동안패션제품을 구매한 빈도에 따라 구매빈도 고집단과 저집단으로 분류하여 확장된 TAM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패션 브랜드나 쇼핑몰 앱, 유통업체 앱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430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t-test, Amos 19.0을 이용한 다중집단 요인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장된 TAM을 구성하는 변수들인 모바일 상거래 특성 요인들(보안성, 유희성, 개인화), 지각된 사용용이성(PEOU), 지각된 유용성(PU)에 있어서 구매빈도 고집단과 저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확장된 TAM은 구매빈도 고집단/저집단의 구매의도를 설명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확인되었다. 구매빈도 고집단에서는 개인화가 지각된 유용성에 주는 영향을제외한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저집단에서는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제외한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빈도 고집단과 저집단 간에확장된 TAM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8개의 경로 중 4개의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입증되었다.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매빈도 고집단이 저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화가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유용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매빈도 저집단이 고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경험정도에 따라 구매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마케터들은 소비자의 구매경험 수준에따른 차별화된 고객 관리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모바일 상거래 특성
  2. TAM의 확장
  3. 온라인 구매경험에 따른 소비자행동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측정도구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구매빈도에 따른 집단 간의 구성변수의 차이
  2. 구매빈도에 따른 집단 간의 경로모형 검증
  3. 구매빈도에 따른 집단 간의 경로모델 차이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채진미 Chae Jin Mie. 한성대학교 패션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