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자상거래의 프라이버시 정책 인식이 개인정보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Privacy Policy Awareness on the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in Electronic Commerce

김종기, 오다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policy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Online privacy policies published on the Internet aim to build the trust of consumers and reduce their concerns about the provision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uses FIP(FIP; Fair Information Practices) principles to measure awareness of privacy policy. 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s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awareness of privacy policy of e-commerce websites, privacy trust, and privacy risk. Privacy policy aims to improve transparency of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 high level of privacy trust is related to a high level of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on an e-commerce website. A low level of privacy risk is related to a high level of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on an e-commerce website. This study found that disposition to trus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policy awareness and privacy trust. This study contributes to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among privacy policy awareness, privacy trust, and privacy risk.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companies that aim to build privacy trust and reduce privacy risk.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와 인터넷 사용자 간의 신뢰를 높이고 인지된 위험을 완화하는 방법인 프라이버시 정책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공정한 정보규정(FIP; Fair Information Practices)의 다섯 가지 요인인 공지, 접근, 선택, 보안, 시행을 통해 프라이버시 정책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개인정보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책의 인식과 개인정보제공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인지된 프라이버시 신뢰, 프라이버시 위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개인의 신뢰성향을 프라이버시 정책의 인식과 프라이버시 신뢰 간 관계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설정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 프라이버시 정책 인식과 개인정보제공의도 관계에서 인지된 프라이버시 신뢰와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변수로 사용된 신뢰성향이 프라이버시 정책의 인식과 프라이버시 신뢰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정한 정보규정을 기반으로 프라이버시 정책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가 프라이버시 정책의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정보 프라이버시
  2.2 프라이버시 정책
  2.3 프라이버시 신뢰
  2.4 프라이버시 위험
  2.5 신뢰성향
 Ⅲ. 연구모형과 가설
  3.1 프라이버시 정책의 인식
  3.2 프라이버시 신뢰
  3.3 프라이버시 위험
  3.4 신뢰성향
 Ⅳ. 실증분석
  4.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항목
  4.2 자료수집 및 분석
  4.3 측정모형의 평가
  4.4 구조모형의 평가
  4.5 연구 가설 검정
  4.6 조절효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기 Jongki Kim.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오다운 Dawoon Oh.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