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 및 동아시아 인문학

「邵子先天論」에서의 소강절, 주희 數理說과그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원문정보

A Study on Cheong Yag-Yong’s Critiques of Shao Kangjie & Zhu Xi’s Numbers Theory of <Zhouyi> in 「Shaozixiantianlun」 by Cheong Yag-Yong

「소자선천론」에서의 소강절, 주희 수이설과그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이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ree distinguished scholars’ theoretical approach of number in . The three distinguished scholars taken in consideration Shao Kangjie, Zhu Xi and Cheong Yag-Yong. The subject of the study is ․ 「Shaozixiantianlun」 and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xplore and differentiate the perspectives of three scholars. In this study recognizes five subjects. The second chapter comprises of 「 Xiantian-Hengtu」 and numbers 9, 6, 7 and 8. The third chapter examines ’s qian, kun and ceshu. In fourth chapter, the meaning of 「Hetu」․ 「Luoshu」 and cantianlangdi has been discussed. The fifth chapter deals with laws of laoshaohucangzhifa in 「Hetu」. Lastly, the sixth chapter references law of bagua and the 「Hetu」.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Cheong Yang-Yong criticizes sixians proclaimed by Shao Kangjie constituted two lines in 「Xiantian-Hengtu」. Cheong Yag-Yong criticized Shao Kangjie’s explanation of bagua order as yiqiantian to bakundi. Furthermore, Cheong Yag-Yong, argued that the Zhu Xi description based on connecting numbers of 「Hetu」 and the diagram of the arrangement of the eight trigrams are not correct. Cheong Yang-Yong further observed that calling the Taiji of 「Hetu」’s 5-10, and sum of odd number and even number as Liangyi by Zhu Xi is clearly incorrect. This was because, the sources of 「Hetu」 were not found appropriate.

한국어

본 논문은 정약용(丁若鏞)의 역학평론인 <역학서언>․「소자선천론」에 수록된 소강절(邵 康節)․주희(朱熹)의 <주역> 수리설(數理說) 내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을비교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세 학자의 역수(易數)에 대한 해석상의 관점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자선천론」의 주요 내용은 소강절 선천역학의 도상설(圖象說)과 주희의「하도」와 연계된 수리설의 8가지 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본고는 소강절과 주희의수리설 5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2장 「선천횡도」 9․6․7․8의수리, 3장 <주역본의>의 건․곤 책수, 4장 「하도」․「낙서」, 삼천양지의 의미, 5장 「하도」의 노소호장지법, 6장 「하도」와 팔괘의 법칙이다. 上述한 세 학자의 역학은 동아시아 역학사상사에서 독창적인 역학이론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세부적인 주역해석의 차이점은 주역 원전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세계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연구결과, 정약용은 소강절이 「선천횡도」에서 사상(四象)을 2획으로 표현한 것은 잘못이며, 팔괘를 일건천(一乾天)․이태택(二兌澤)․삼리화(三離火)․사진뢰(四震雷)․ 오손풍(五巽風)․육감수(六坎水)․칠간산(七艮山)․팔곤지(八坤地)라고 순서를 정한 것도역리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아니라고 반박하였다. 왜냐하면 시괘법(蓍卦法)을 통해서 1획만얻어도 이미 사상이 존재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일생양시(一生兩時)’ 즉 음양이 동시에 생성되는 상대적 관계라는 논리를 적용하여 팔괘는 우선순위를 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 정약용은 주희가 「하도」 10수와 관련지어 5․10을 태극이라고 하고, 기수나 우수 각각의합 20을 양의라고 주장한 것은 오류이며, 그의 삼천양지, 팔괘, 사상, 9․6․7․8의 역수 해석이 산수가, 정현, 「하도」 등의 영향을 받아 왜곡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하도」와 「 태극횡배지도」로 표현된 주희와 소강절의 수리설이 역학의 장애물이었다고 정약용은 평가하였다. 「소자선천론」에 수록된 정약용의 비판을 고찰한 결과, <주역>의 역상(易象) 과 역사(易詞) 해석의 근간에 역수(易數)의 의미 분석과 변화원리를 내포한 수리에 대한이해가 전제가 된다는 점을 정약용이 분명히 인식하고, 주희와 소강절의 수리설을 비판적관점으로 통찰해 분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선천횡도(先天橫圖)와 9ㆍ6ㆍ7ㆍ8의 수리
 3. 『주역본의』 건ㆍ곤 책수의 의미
 4. 「하도」ㆍ「낙서」와 삼천양지의 의미
 5. 「하도」의 노소호장지법(老少互藏之法)
 6. 「하도」와 팔괘의 법칙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난숙 Lee, Nan-Sook.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