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ase Study on Workplace and Learning Dual System
초록
영어
The workplace and learning dual system is being promoted from setting up the achievement of a quantitative goal of 10,000 companies’ participation until 2017 as the prior goal. The number of companies in the whole country which were chosen as participation enterprises for the system as of November 2014 is a total of 2,081. Except 125 companies which gave up midway among them, 1,956 companies are taking the certification proceedings of the workplace and learning dual program or implementing training programs. When the investigation analysis of the promotion status is seen, the chosen enterprises which were selected as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system as of March 2015 are a total of 104. It is in a situation that participation companies are increasing. 43 enterprises of them are carrying out training programs after certificating the workplace and learning dual program. Also, 71 companies are going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dures of the program. 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s of previous in-company education, the writer cam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f the workplace and learning dual system. In the program, intentions of participating companies and learning workers are the most important. For example, when lots of people who stopped their works during the education training are seen, they left their companies because their works did not fit to their aptitudes. The alternative is to hire new workers. However, at present, since there is restriction in new comers’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y cannot participate although they want to do it. Even though maximum effect can be made while lessening the sense of difference of work contents and heading for the cultivation of competent people from processing the system, there is a risk element that it is impossible to say confidently that those workers work continually after completing the all education. That is, companies devote their energies to the cultivation of talented workers with time and effort, but the effect of education cannot be enjoyed because of workers’ resignations.
한국어
일학습병행제는 선진국가에서 직업훈련으로 실시하고 있는 도제훈련을 우리나라의 직업훈련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일터학습방식이다.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중심 인재를 기르기 위해 산업체가 주도하여 학습근로자에게 교육훈련기관과 일터에서 OJT와 Off-JT를 직무중심으로 실시하고, 교육훈련을 마친 학습근로자들의 역량을 해당 기업 및 평가기관, 국가 또는 관련단체가 평가하여 자격을 부여하거나 채용에 반영하는 형태의 직업교육 훈련제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전국 일학습병행제 추진현황을 분석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광주지역 일학습병행제 추진현황을 파악하여 상호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광주지역 일학습병행제 참여기업 중 기계분야에 참여하는 기업의 사례연구를 통해 참여기업의 기존 교육프로세스, 기존 사내교육의 문제점, 일학습병행제 참여 배경, 일학습병행제 참여 후 기대효과, 일학습병행제 발전을 위한 제안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결과 일학습병행제가 참여기업 및 학습근로자의 양적확대에 치중되어 있다는 주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기업의 95%가 중소기업으로 현장교사의 확보가 어렵고, 실습장비 부족으로 일학습병행제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근로자의 중도탈락률을 낮추기 위한 지원제도가 부족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실제로 학습현장에서 학습근로자의 중도탈락을 통해 증명할 수 있었다. 일학습병행제에 기업의 자발적 참여가 부족하고 정부지원금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사실 또한 CEO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광주지역 일학습병행제 참여기업인 (주)대흥정밀, (주)남도금형, (주)지오메디칼의 일학습병행제와 기존 사내교육과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비교분석하여 일학습병행제의 장점을 파악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즉, 기존의 사내교육의 문제점이라면 중소기업의 특성상 단기적인(단편적) 교육 후 생산인력으로 투입시킬 수밖에 없었지만, 일학습병행제를 통해 제조업(기계분야-금형)의 특성을 반영한 복합적인 생산시스템 교육훈련으로 생산성 향상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중소기업들은 전반적인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적, 금전적인 제약으로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은 늘 소홀한 편이었는데 일학습병행제는 그런 부분들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학습병행제가 신규직원 채용의 확대, 미스매치 해소, 인력배치, 승진, 장기근속 유도 등에 적합한 교육훈련제도가 분명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일학습병행제의 개념과 선행연구
2. 관리주체에 따른 운영 유형
3. 수료결과 인정방식에 따른 유형
III. 일학습병행제의 추진현황
1. 전국 및 광주지역 참여기업 현황
2. 전국 및 광주지역 참여기업 분야별 현황
3. 전국 및 광주지역 참여기업 사업체 규모별 현황
4. 전국 및 광주지역 참여기업 훈련 기간별 현황
5. 전국 및 광주지역 참여기업 운영 유형별 현황
6. 전국 및 광주지역 참여기업 인정 방식별 현황
7. 일학습병행제 추진상의 문제점
IV. 일학습병행제 사례연구
1. 일학습병행제 사례연구의 필요성
2. 사례연구 중소기업의 일반적 특성
3. 광주지역 중소기업 일학습병행제 추진현황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