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 Open Access

Development of Whitening Cosmetic Ingredien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Stem Extract

원문정보

꾸지뽕나무 가지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Hyo Sun Han, Soo-Yeon Kim, Dae-Jin Lim, Wan-Kyun Wha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udrania tricuspidata (C. tricuspidata) stem extract as whitening cosmetic material. Methods: We performed TLC and HPLC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its contents in C. tricuspidata stem extract fractions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In order to evaluate anti-oxidant effects, radical and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using DPPH, ABTS free radicals and xanthine oxidases, respectively. In addition, we examined tyrosinase activity and cellular melanin content to verify the whitening effects of C. tricuspidata stem extract. Results: We found out that both ethyl acetate fraction and butanol fraction among the fractions of C. tricuspidata stem extract had anti-oxidant compounds. Our results pointed out that the active fractions have significant free radical and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fraction of ethyl acetate is the best. The ethyl acetate fraction (IC50 24.4 ppm) and butanol fraction (IC50 88.3 ppm) reduced tyrosinase activities and melanin conten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C. tricuspidata stem extract has the potent as a cosmetic material which possess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꾸지뽕나무 가지 추출물의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TLC 및 HPLC 분석을 통해 꾸지뽕나무 분획물(헥산, 아세트산에틸, 부탄올, 물)의 항산화 물질 함유여부를 확인하였고,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ABTS free radical 및 superoxide 소거 활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티로시나제 억제율과 멜라닌 생합성률 확인 실험을 통해 꾸지뽕나무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다. 결과: Radical 및 superoxide 관련 항산화능 평가 실험을 통해서 그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꾸지뽕나무 가지 분획물 중 아세트산에틸 분획물 및 부탄올분획물에서 각각의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미백 효과와 관련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아세트산에틸 분획물(IC50 24.4 ppm)과 부탄올 분획물(IC50 88.3 ppm)에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실험에서도 아세트산에틸, 부탄올 분획물에서 멜라닌 생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줄어들었다. 결론: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꾸지뽕나무 가지 추출물은 향후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가지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의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어

目的: 探讨柘树枝提取物作为美白功效性化妆品原料的可行性。 方法: 利用TLC和HPLC分析柘树枝几种溶剂(正己烷、 乙酸乙酯、正丁醇、水)萃取物是否含有抗氧化物质,为了进一步确认萃取物的抗氧化效果进行了DPPH,ABTS free radical以及超氧阴离子自由基清除活性实验。另外为了确认柘树枝提取物的美白效能进行了酪氨酸酶抑制率和 黑色素合成率的实验。结果: 通过radical以及 超氧阴离子自由基清除活性实验,确认了柘树枝乙酸乙酯萃取物以及正 丁醇萃取物分别与它的阳性对照组具有相似的抗氧化活性,特别是乙酸乙酯萃取物具有最优秀的抗氧化活性。为了确 认美白效能评价进行酪氨酸酶抑制实验,其结果显示在萃取物中只有乙酸乙酯(IC50 24.4 ppm)和 正丁醇萃取物(IC50 88.3 ppm)具有酪氨酸酶抑制效果。通过黑色素抑制实验,也确认随着乙酸乙酯、正丁醇萃取物浓度的增加降低黑色 素的形成。结论: 通过以上结果,柘树枝提取物作为抗氧化和美白效能的化妆品原料充分具有发展可行性。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ethods
  1. 추출 및 분획
  2. 항산화 활성 평가
  3. 미백 활성 평가
  4. 자료분석 및 통계적 검정
 Results and Discussion
  1. 항산화 물질 및 함량 분석
  2.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능 평가
  3. Superoxide 항산화능 평가
  4. Tyrosinase 활성 억제능 평가
  5. Melanin 생합성 억제능 평가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Hyo Sun Han 한효선.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 Soo-Yeon Kim 김수연. Department of Beauty Art, Doowon Technical University, Paju-si, Gyeonggi-do, Korea
  • Dae-Jin Lim 임대진. Department of Cosmetology and Art, Soongsil Cyber University, Seoul, Korea
  • Wan-Kyun Whang 황완균.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