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MALDI-TOF MS 분석법을 통한 클리퍼 모발분진 중 미생물 동정
초록
영어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the hygiene level of beauty shop industry and to provide data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al hygiene of beauty shops and developing sanitizers by identifying the contaminated microorganisms from hair dust in the clippers promptly. Methods: This survey targeting 248 beauty shop workers in Gyeonggi province was carried out, and hair dust in the clippers from 50 beauty shops was collected. Additionally,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MALDI-TOF identification method. The SPSSWIN (Ver. 19.0K, SPSS Inc., USA)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Results: For the hygiene education in the beauty shop, 50.4% answered ‘Yes’ and for the sterilization education for each apparatus type, 64.9% answered ‘Yes’. For the necessity for hygiene education, 93.3% of respondents with education level of graduate school graduation or higher answered ‘It is necessary’ and for continuous working with skin disease, 51.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Yes’. For clipper sterilization, 35.9% answered ‘Once a day’, and for the reason of no clipper sterilization, 35.0% answered ‘Inconvenience due to frequent usage’. The microorganism identified from the dust in the clipper with the MALDI-TOF MS method was Escherichia coli AKD00698 of which the score was 208.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beauty shop workers about the hygiene management.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view of hygiene. Because we are able to predict the contamination possibility of other bacteria.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미용업의 위생수준에 관하여 연구하고, 클리퍼의 모발 분진에 오염된 미생물을 신속하게 동정하여 환경위생인식 개선과 소독제 개발의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방법: 경기지역 미용실 근무자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50개의 미용실에서 클리퍼 모발 분진을 수거하여 MALDI-TOF 동정법으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통계처리는SPSSWIN (Ver. 19.0K, SPSS Inc., USA)을 사용하였다. 결과: 미용실내에서의 위생교육은 ‘있다’ 50.4%, 기기 종류별 소독교육은 ‘있다’ 64.9%로 나타났다. 위생교육의 필요성은 ‘대학원이상’ 9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손에 피부질환 상태에서계속 근무하는 경우는 51.6%로 나타났다. 클리퍼의 소독은 ‘매일 1회’ 35.9%로 나타났으며, 소독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수시사용의 번거로움’ 3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클리퍼 분진에서 MALDI-TOF MS 방법으로 동정된 미생물은 Escherichia coli AKD00698이며, score는 208.0으로 나타났다. 결론: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실 종사자들의 위생관리 인식 교육의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정된 미생물을 통해 분변 및 다른 균의 오염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어 위생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중국어
目的: 通过研究美容店业的卫生水平, 鉴定理发店的剪发灰尘中的微生物,并为改善美容店的环境卫生意识和消毒剂的 开发提供研究资料。方法: 这项调查对京畿道地区248名美容店人员进行问卷调查,并在50个美容店中,收集剪发灰尘, 利用MALDI-TOF方法鉴定微生物,以及利用SPSSWIN (Ver. 19.0K, SPSS Inc., USA)进行统计处理。结果: 在问卷调查中, 在美容店中是否有卫生教育,其中50.4% 回答“是”; 是否有不同类型设备的灭菌教育,其中64.9% 回答“是”;对于卫生 教育的必要性,研究生以上学历的受访者中,93.3%的受访者回答“这是必要的”;手上具有皮肤病的情况下,是否会 连续工作,51.6%的受访者回答“是”; 剪刀的消毒方面,“每日一次消毒”占35.9%,不进行消毒的原因中“频繁使用造 成的不便”占35.0%,显示最高;在剪发灰尘污染的微生物中,利用MALDI-TOF MS方法鉴定的微生物是Escherichia coli AKD00698,其得分为208.0。结论: 这项研究的结果表明,有必要对美容店从事者的卫生管理认识进行教育。此外,通 过鉴定的微生物,我们能够预测其他细菌的污染可能性,因此卫生教育具有非常重要的意义。
목차
Introduction
Methods
1. 연구대상
2. 실험배지
3. 실험방법
4. 통계처리
Results and Discussion
1. 미용실 위생교육 특성
2. 미용실 종사자들의 손 위생관리 특성
3. 클리퍼 위생특성과 직위별 상관성
4. 클리퍼 모발 분진에서 동정된 미생물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中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