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5 nm급 Nano Gold Essence 화장품의 유효성 평가
초록
영어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related to nano gold cosmetics by identifying factors which influence middle-aged women’s skin condition (moisture, roughness, pore, and pigment) by using nano gold essence. Methods: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13 women in their 50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kin on the left cheek where nano gold essence was not applied was measured as the control area. The skin on the right cheek where nano gold essence was applied was measured as the test area.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Results: According to the test analysis, the test area showed an increase of moisture (F=6.914, p<.001) and a reduction in roughness (F=22.652, p<.001), pore (F=2.902, p<.05), and pigment (F=37.717, p<.001).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cosmetic manufacturers should use nano gold in the essence formulation that can be absorbed into skin more easily when making functional cosmetics. Moreover, nano gold will be a valuable new material that influences on moisturizing, whitening, and minimizing pores.
한국어
목적: Nano gold essence를 이용하여 50대 여성의 안면피부의 수분, 거칠기, 모공, 색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중년여성의 nano gold 화장품 사용을 통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50 대 여성 13명을 대상으로 대조군은 nano gold essence를 사용하지 않은 왼쪽 피부, 실험군은 nano gold essence를 사용한 오른쪽 피부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실험군의 경우 수분(F =6.914, p <.001)은 증가하였으며, 거칠기(F =22.652, p <.001), 모공(F =2.902, p <.05), 그리고 색소(F =37.717, p <.001)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Nano gold는 기능성화장품 제조 시에 피부 흡수가 용이한 essence로의 활용과 수분 공급, 미백 효과, 모공 개선 등 기능성 화장품 제조에 사용할수 있는 신소재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어
目的: 通过使用纳米黄金精华素确定影响中年妇女的皮肤状况的因素,如,保湿度、粗糙度、毛孔、色素等,为开发纳 米黄金化妆品提供基础数据。方法: 13名50多岁女性志愿者,被选为受试者。不使用纳米黄金精华素的左脸颊作为对 照部位,测定使用纳米黄金精华素的右颊部位,并比较分析。结果: 根据测定分析,受试部位保湿度明显增加 (F =6.914, p <.001),粗糙度(F =22.652,p <.001)、毛孔(F =2.902, p <.05)以及 色素(F =37.717,p <.001)都明显减少。结论: 纳米黄金很 容易被皮肤吸收到,因此建议化妆品制造商在制作功能性化妆品时,在精华素配方中,使用纳米黄金。 此外,纳米黄 金将会是一个对保湿、美白、毛孔改善等方面具有价值的新原料。
목차
Introduction
Methods
1. 연구대상 및 기간
2. 연구도구
3. 피시험자 선정 기준
4. 피시험자 선정 제외 기준
5.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6. 연구의 제한점
Results and Discussion
1. 수분 변화
2. 피부결 변화
3. 모공 변화
4. 색소 변화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中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