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학작품에 나타난 형제 관계 비교 연구 -「토지」와 「흥부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Toji」and「Heungbujeon」 - Focus on brother relation

서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examined conflict between brothers and solution in「Toji」and「Heungbujeon」 through the environment that the brothers faced, temperamental aspect, and the event that causes conflict, method to face the event, and the method of reconciling, etc. Conflict between brothers is the conflict in the initial inner relationship, which can reflect the problem that most deeply confront in that society. The focus of the reading of the two works is to pay attention to the society that caused this conflict without limiting brother conflict to the conflict within family. By determining brother conflict aspect as the realization of social problem and investigating how the brothers responded, we can see the writer's consciousness. The researcher intended to investigate the value of life that is the compass of human life in the confusing society of late Joseon and compressed lif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eldest sons, Nolbu, Duman, Geobok, Yongha Jo, and Yeonghwan Song were described as negative characters. Relatively Heungbu, Yeongman, Hanbok, Chanha, and Janghwan were described as positive characters. Since the brothers shared the same growth environment, direction of leading their life is different along with their personality and value, nevertheless they had the same character of faithfulness and volition, etc. The composition that the eldest son was defeated and the second son(次子) won could be found with connectivity, since the two novels are the same, however there's a difference that「Heungbujeon」is the victory(勝) of Confucian ethics, while「Toji」is the victory(勝) of community ethics(family, people). 「Toji」can be said to develop and expand the classical novel while succeeding it.

한국어

이 논문은 「토지」와 「흥부전」에 나타난 형제 갈등과 해소를 형제가 처한 환경, 기질적인 측면, 갈등을 일으키는 사건, 사건에 대처하는 방식, 화해하는 방식 등을 통해 검토한다. 형제간의 갈등은 최초의 내밀한 관계에서의 갈등이기 때문에 그 사회에서 가장 첨예하게 부딪히는 문제를 투영할 수 있다. 형제의 갈등을 가정내의 갈등으로 한정하지 않고 이러한 갈등을 유발한 사회에 주목하는 것이 두 작품 독해의 주안점이다. 형제의 갈등 양상을 사회문제의 구현으로 보고 형제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핌으로써 작가의식에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의 혼란한 사회와 일제 강점기 억압된 사회에서 인간의 삶에 나침반이 되는 삶의 가치는 무엇인지 형제 갈등과 화해 양상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장자인 놀부, 김두만, 김거복, 조용하, 송영환은 모두 부정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상대적으로 흥부, 김영만, 김한복, 조찬하, 송장환은 긍정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형제는 성장환경이 같기 때문에 성실성, 의지력 등의 특징이 같다고 하더라도 성격과 가치관에 따라서 삶을 영위하는 방향이 다르다. 장자가 패하고 차자(次子)가 승리하는 구도는 두 소설이 동일하여 연계성(형제 관계의 갈등과 해결을 통해서 가족·공동체윤리를 긍정)을 찾아볼 수 있지만, 저항의 대상과 저항의 강도는 차이를 보인다. 「토지」는 고전소설을 계승하면서 발전, 확대하였다고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형제 갈등 양상
 3. 형제 화해 양상
 4. 갈등과 화해를 통한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현주 Seo, Hyeon-ju.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