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백유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of us are aware that job stress is an important problem in organizations. Some people thrive on stressful situations, while others are overwhelmed by them. Perception is personally about stress according to personality,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High levels of stress, or even low levels sustained over long periods, can lead to reduced employees performance and, thus, require action by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o conduct such examination, the author (i) designat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as variables and (ii) designed a research model by conducting preceding studies on the variables.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e author collected the survey data from the 384 public servants belonging to the province of Gyeongsangbuk-do and municipalities there of.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specially,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ability for one’s own emotions among the constru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2) it was found that higher degree of understanding ability for other’s emotion among the constru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lead to a lower degree of psychological job stress. (3) it was found that higher degree of ability for emotional control among the constru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lead to lower degree of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4) it was found that higher degree of ability for application of emotions among the constru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lead to a lower degree of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whic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discover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This study have limitation in that was conducted based on cross-sectional design of research. Because, job stress is a dy-namic condition in which an individual is confronted with an opportunity, demand, or resource related to what the individual desires and for which the outcomes is perceived to be both uncertain and important.

한국어

본 연구는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경상북도의 공 무원 3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서지능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 중 자기정 서 이해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정서지능의 구성개 념 중 타인정서 이해는 심리적 스트레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신체적 스트레스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정서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심리적 스트 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사실은 직무스트레스는 일 이나 관계를 통하여 대부분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자신 의 정서를 조절, 활용하는 능력을 높이는 방법을 통하여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 유용한 의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조직구성원의 정서지능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높일 수 있는 교 육훈련 방안을 도입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생산성 향상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정서지능
  2.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
 III. 실증연구 설계
  1. 연구모형과 연구과제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조사방법
 IV. 실증분석 결과
  1. 인구통계적 특성
  2.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3. 상관관계분석
  4. 구성개념 타당성 분석
  5.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검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백유성 You-Sung Baek. 동양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