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규모 치수(治水) 사업이 주변 문화재 환경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Impact of a Large Water Control on Environment of Surrounding Cultural Heritage

정선혜, 김시현, 한예빈, 이민영, 이현주, 정용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mpact of a large water control project on surrounding environment(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precipitation, wind speed, present weather and visibility) was monitored. The survey have targeted on Silleuk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the waterside. The number of foggy days emerged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at can cause damage to cultural heritage. Under construction of weir since 2011, monthly relative humidity of Yeoju and Icheon was dropped to 9.6%. It depends on decrease in the number of raining days and precipitation of each year. Silleuksa temple is contiguous to Namhan River and only 100 m away from the waterside. Average wind speed is 0.5 m/s. Silleuksa has a sit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s often foggy. The number of foggy days of Silleuksa temple declined to 53 days soon after weir's completion. In case of fog, relative humidity of outside was higher than that of outside and inside of Josadang Shrine. Relative humidity difference of outside and inside of Josadang Shrine was 5.4% on average. Relative humidity of the number of foggy days is 6.3% higher on average than that of fine days. The width and dimensions of Namhan River increased by 1.45 times after weir's construction. It can change the number of foggy days. A long-term monitoring is positively necessary on fog occurrence and relative humidity.

한국어

수변에 위치한 신륵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치수 사업이 주변 환경(온·습도, 강수량, 풍속, 시정현천)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 하였고, 문화재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 인자로 안개일수를 도출하였다. 보 건설 이후 여주·이천 지역의 월별 상대습도가 최대 9.6% 감소하였는데 이는 해당 연도의 강우일수 및 강수량의 감소에 의한 것이다. 남한강에 인접한 신륵사는 100 m 이내의 수변과의 거리, 평균 풍속 0.5 m/s의 안개발생 요인들로 안개가 발생하고 유지되기 좋은 입지 환경을 갖고 있다. 신륵사의 안개 발생일수를 보 설치기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설치 직후 발생일이 53일 감소하였 다. 안개 발생시 공간에 따른 상대습도는 외부, 조사당 외부, 조사당 내부 순으로 높았고, 조사당 외부와 내부의 차이는 평균 5.4%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공간별 모두 안개가 발생하는 날의 상대습도가 맑은 날 대비 평균 6.3% 높았다. 남한강 의 강폭·면적이 보 건설 전 대비 건설 후 1.45배 증가하여 향후 증발량 증가에 따른 안개발생일수 변화가 예측됨에 따라 안개 발생과 상대습도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조사대상
  2.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3. 연구 결과 및 고찰
  3.1. 이천기상대 관측 자료 분석
  3.2. 이천기상대와 야외기상시스템 비교
  3.3. 안개발생일수 변화 양상 및 관련 요인 분석
  3.4. 안개 발생에 따른 공간 및 계절별 온·습도 비교
  3.5. 보 건설에 따른 안개 발생 예측
 4.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선혜 Seon Hye Jeo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김시현 Si Hyun Kim.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한예빈 Ye Bin Han.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이민영 Min Young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예방보존연구소
  • 이현주 Hyun Ju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정용재 Yong Jae Chu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