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일반목적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의 교수요목과 등급 기술에 대한 재고 – 학습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원문정보

Reconsideration on Syllabus and Level Description of Advanced Korean Course for Leaners with General Purposes – Based on Needs Analysis of Korean Learners

정미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onsideration on Syllabus and Level Description of Advanced Korean Course for Leaners with General Purposes– Based on Needs Analysis of Korean Learner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r not the curriculums for advanced level Korean meet the needs of learners for general purpose, by analyzing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level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As a result, it appears that the curriculums are overly academic and theme-based contents. In order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developing materials in the future, the study conducted a leaner's needs analysis. From this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First, advanced learners for general purpose expressed high demands on Korean for occupational purpose among a number of specific purposes that can be found in advanced level. Secondly, learners wanted the textbooks to put stronger emphasis on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than other skills. Lastly, as for the tasks or conversation structures, it is shown that learners prefer practices in private and informal settings over public and formal settings.

한국어

최근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다양한 한류 콘텐츠들이 세 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일반목적 학습자의 수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 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의 일반목적 학습자들의 학습 목표는 ‘간단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에 그치지 않고 고도의 한국어 능력에 도달하기 를 희망한다는 것이다. 이에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 한 시기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시판중인 한국어 고급 교재를 분석하 여 한국어 고급과정이 일반목적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 내용인지 살펴본 결과 지나치게 학술적이며 주제 중심적인 내용에 치우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앞으로 새로운 교재를 개발 하는 데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학습자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일반목적 고급학습 자들은 고급과정에서 특수목적 가운데 직업목적의 한국어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재에는 다른 기능보다 말하기, 듣기 기능의 비중이 크기를 바랐으며 이 밖에도 어휘 학습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제, 혹은 대화를 구성하는 데 있어 공식적인 상황보다 는 사적인 상황, 격식적인 상황보다는 비격식적인 상황에 대한 연습을 더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기존 고급 교재 및 등급 목표에 대한 검토
  2.1. 일반목적 한국어교육의 개념
  2.2. 등급 목표의 기술
  2.3 기존 고급 교재 분석
   2.3.1 주제
   2.3.2 기능/상황
 3. 학습자 요구분석 방법 및 절차
 4. 요구분석 결과 및 교육적 제언
  4.1. 한국어 학습 목적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결과
  4.2 고급 교재의 구성에 대한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미지 Jung, Mi-ji. 서울시립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