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식용색소를 이용한 비다공성 재질 상 현출지문의 색 대비효과 및 이미지 개선

원문정보

Color Contrast Effect and Image Enhancement of Developed Latent Fingerprints on The Nonporous Materials Using Edible Colorants

조재현, 서경숙, 윤광상, 성낙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ults of the color contrast effects and the enhanced images about the latent fingerprints detected on the 5 nonporous materials (I-V) by 8 different edible colorant powders (1-8) were discussed quantitativel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mponents in colorant powders and materials, the Coulomb force between the inorganic ions influenced predominantly to develop the latent fingerprints rather than hydrophobic attraction force. Commonly, the deriver models on the color contrast effect (M1-M13) indicated the negative brightness (BR) mainly and the brightness influenced more than about 10 times comparing with the hue (H) of color. But those CA fuming shows that the results tend to create objection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latent fingerprints on the slide glass (I) with radar chart showed that the hue of active colorants (1, 2 & 9) for better developmental images were smaller and that of inactive colorants (4-8) were bigger. The ratio of the image enhancement (%=(BA)/ A*100) was the highest on the vinyl film (IV; 44%) and yellow No. 4 tatrazine (5; 300 %)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the colorant powders (1-8). When the brightness (BR) coefficients (M1; ρ= −0.268 & M9; ρ= −0.429) of the two color contrast models, before the image enhancement (M1) and after the image enhancement (M9), of the developed latent fingerprints on the slide glass (I) were compared, the ratio of the enhanced image was increased by about 63%.

한국어

8종의 식용 색소분말(1-8)들에 의하여 현출된 5종의 비 다공성 재질(I-V)에 유류된 잠재지문들 에 대한 색 대비효과와 이미지 개선결과들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잠재지문들의 현출은 색소와 재 질을 구성하는 성분들 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소수성적인 인력보다는 무기이온들 사이의 쿨롱(Coulomb) 인력이 우세하게 영향을 미친것으로 설명되었다. 공통적으로 색 대비효과에 관하여 유도된 모델들(M1- M13)은 주로 명도(BR) 부 대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명도가 색상(H)에 비하여 약 10배 이상 큰 영향을 미치었다. 그러나 CA 훈증의 경우는 반대경향이었다. 유리 스라이드(I)에서 현출된 잠재지문들에 대한 색 대비효과를 방사형 차트(radar chart)로 분석한 결과, 현출성이 양호한 활성색소(1, 2 및 9) 분말들은 색상(H)이 보다 작았으며 비활성 색소(4-8)들은 색상이 큰 경향이었다. 이미지 개선비율(%=(B−A)/A*100) 은 재료 상 비닐필름(IV; 44%), 그리고 색소(1-8)에서는 황색 제4호(5; 300%)가 제일 높았다. 유리 스라 이드(I)에서 현출된 잠재지문에 대한 이미지 개선 전(M1) 및 후(M9) 모델들의 명도(BR) 계수값(M1; ρ= −0.268 및 M9; ρ= −0.429)을 비교한 결과로부터 이미지 개선 전보다 후의 경우에 약 63% 증가한 이 미지 개선 비율을 나타내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색소 및 재질별 지문현출
  2. 현출지문의 이미지 개선
 결과 및 고찰
  1. 색소분말의 지문현출
  2. 색 대비효과의 분석
  3. 이미지 개선 효과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재현 Jae-Hyun Cho.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과학수사학과
  • 서경숙 Kyung-Suk Seo.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과학수사학과
  • 윤광상 Gwang-Sang Yoon. 경기북부지방경찰청 형사과
  • 성낙도 Nack-Do Sung.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과학수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