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고전문학에 나타난 불륜의 사랑

원문정보

Literary Records of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 Literature

조혜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extramarital relationships are described in novels from Joseon dynasty’s and its meaning. Before analysis, various examples of the immoral relationship in documents have been examined from a broad-sense to a narrow-sense, based on the law, system, and customs of that time. Many of Joseon novels are about love stories, but there are rare cases of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Even so, those cases are notable.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described in SassinamJeongki of Kim Man-jung, is a prime example. An immoral female character, Kyo Chae-ran, becomes a typical malefactress model because she threatens purity of patriarchal blood. In this way, female character’s sexual desire and her initiative to choose the man have labeled her ‘immoral’. However, passing through the 18th century, the description on extramarital relationships begin to shift. For female characters in Cheonsuseok and Imssisamdaerok, the marriage means sharing intimacy for a female, rather than merely perpetuating a family line. Therefore, they do have extramarital relationships only when their emotional needs are not satisfied. In contrast to the past two centuries, the 19th century adopts a different view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As narrators in Jeolhwakidam and Poyikyojip portraits heroins who actively lead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they claim that such immoral relationship is partly due to the husband’s fault. They are neither typical malefactress models. Both stories end up without any punishments for such adultery, and the female characters’ lives just go on. This ending shows one aspect of people’s thought of taboos, moral laws, and the sex of lower class women at that time. In this way, Jeolhwakidam and Poyikyojip show one way of representing woman’s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the 19th century Joseon’s confucian culture.

한국어

본고의 관심은 조선시대 소설에 나타난 불륜의 양상 및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시대에 사용된 ‘불륜(不倫)’의 용례를 살피고 당대의 법 제도 및 사회적 통념, 관습에 근거하여 협의의 불륜, 간통에 해당하는 경우를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소설에는 남녀의 애정을 다룬 작품들이 매우 많으나 남녀 주인공들이 불륜 관계에서 애정을 키워나가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조선시대 소설에서 불륜, 여성의 간통 사건이 등장하는 대표적 작품으로는 김만중(金萬重)의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를 들 수 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간부(奸婦) 교채란은 가부장제 혈통의 순수성을 위협하였기에 악인형 여성 인물의 전형이 되었다. 여성의 성적 욕망, 여성이 자신이 원하는 남성을 선택하여 주도권을 발휘하는 것 등은 여전히 여성형 악인의 표지로 작동하지만 18세기가 지나면서 <천수석(泉水石)>, <임씨삼대록(林氏三代錄)> 등의 국문장편소설에서는 여성의 불륜을 서술하는 태도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당 여성 인물에게 결혼이란 대를 잇기 위한 행위보다는 남편과 친밀감을 나누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 같은 필요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 불륜을 저지르는 것으로 그려졌다. 여성의 불륜에 대한 서술 태도가 확연하게 달라지는 경우는 19세기 한문소설인 <절화기담(折花奇談)>, <포의교집(布衣交集)>에서 볼 수 있다. 두 작품의 서술자는 불륜을 주도적으로 소화하는 여성 주인공들을 그려내고, 그녀들의 불륜 이유에는 남편도 포함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서술한다. 그녀들은 더 이상 악녀의 전형이 아니다. <절화기담>과 <포의교집>은 19세기 조선의 유교 사회가 여성의 불륜을 재현해 내는 한 가지 방식을 보여준다. 불륜을 행한 여성들이 그로 인한 징치를 당하지 않고 삶을 이어간다는 두 작품의 결구는 하층 여성의 성(性)에 대한, 또 금기, 도덕률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의 한 면을 보여준다.

일본어

本稿は、朝鮮時代の小説に現れた不倫の様相やその意味など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研究方法として、まず朝鮮時代に実際に使用された「不倫」の用例を分析したのであるが、その結果「不倫」とは、当代の法制度および社会的通念、慣習に基づいた狭義の不倫、姦通に該当する場合が多かったことが分かった。 朝鮮時代の小説には、男女の愛を取り扱った作品が多いのであるが、男女主人公が不倫関係によって愛を実らせた事例を探すことは難しい。朝鮮時代の小説の中で、不倫、女性の姦通事件が登場する代表的な作品として、金萬重の󰡔謝氏南征記󰡕を挙げることができる。この作品に登場する奸婦である喬彩鸞は、家父長制血統の純粋性を脅かしたため、悪人型女性人物の典型になった。そして、こうした女性の性的欲望、女性自身が望む男性を選択して主導権を発揮することなどは、依然として女性形悪人の標識として作動するのであるが、18世紀を過ぎて、󰡔泉水石󰡕 󰡔林氏三代錄󰡕のようなハングル長編小説で、女性の不倫を叙述する態度に変化が生したことを見出すことができる。即ち、該当女性人物にとって結婚とは、家を継ぐための行為というよりは、夫と親密感を分かち合うためのものであり、そのような必用が満たされない時に不倫を犯すものと描かれているのである。 女性の不倫についての叙述態度が画然と変化するのは、19世紀の漢文小説である󰡔折花奇談󰡕、󰡔布衣交集󰡕の中で窺うことができる。両作品の叙述者は、不倫を主導的に消化する女性主人公を描き出し、彼女たちの不倫の理由には夫も含まれることを明確に叙述する。彼女たちの不倫は彼女たちの強い性欲、淫心のためではないのである。 もうこれ以上彼女らは悪女の典型ではない。󰡔折花奇談󰡕と󰡔布衣交集󰡕は、19世紀朝鮮の儒教社会が女性の不倫を再現する一種の方式を見せる。不倫を犯した女性が、それによる懲治を受けずに生き続けていくという両作品の結末は、下層階級の女性の性に対する、また道徳律に対する当代人の認識の一面を見せるのである。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불륜’과 ‘간통’
 Ⅲ. 조선시대 소설에 나타난 불륜 양상
 Ⅳ. 맺음말 : 불륜이 유의미할 때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조혜란 Hae Ran Cho. 이화여대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고전소설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