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글쓰기에서의 개요 작성 교육 — 호서대학교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tudy on Creating Outlin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Writing ―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writing and communication at Hoseo University

김세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mportance of the writing and communication which are core abi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oday is emphasized more and more. So most of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strategies are changing for today’s needs a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process-based instruction. But creating outline education doesn’t reveal these changes. So this study is focused on showing effective practical methods and finding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university creating outline education. To accomplish purpose of study, I analyzed and criticized the parts of creating outline in the existing university writing text book. On this analysis, I managed demonstration class in writing and communication at Hoseo University. As a result, I suggested actually helpful creating outline education methods. Firstly the textbook for creating outline requires process-based and workbook’s form. Additionally it needs to be strengthened in the fields of practical exercises and writings about current events. According to this research, demonstration class on writing and communication was based on creating outline teaching materials which divided the process. Learners studied not only theory but also practical strategy for creating outline and had short activities in creating outline about many kinds of writings freely. In the next step, they composed outlines of report and presentation firstly and developed it as a completed form. To actualize properly the university creating outline education, it will have to operate focusing on communication among members and learners self directedness. Especially, this study case may be useful as an example for same level formalities of creating outline education.

한국어

대학 글쓰기 교육이 지식정보화사회의 핵심 역량 개발을 담당하게 되면서 최근 각 대학 수요자에 맞추어 글쓰기 교재 개편이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개요 작성 교육은 그 중요성에 비해 교재 개편의 적극적인 변화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학습자들이 실제 글쓰기에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개요 작성 교육에 대한 연구성과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기존 대학 글쓰기 교재에서 다루고있는 ‘개요 작성’ 부분의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한 후, 이를 적용한 호서대학교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시범반 사례를 중심으로 개요 작성 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2장에서 호서대학교 교재와 최근 2~3년간 출판된 글쓰기 교재의 개요작성 부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글쓰기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학습자들의 경우 개요 작성이나 구성의 기본 패턴을 익혀 글쓰기 전략을습득하고 학습자 활동 중심으로 진행하는 과정 중심 교재가 효과적이다. 또한 워크북 형식을 지향하더라도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핵심 이론이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다만 현행 과정 중심 교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어진 지문 분석과 비판을 넘어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다양한글쓰기나 말하기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실습이나 과제가 더 필요하고, 사회적 관점을 강화하기 위해 시사적 글쓰기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 3장에서는 2장의 문헌 연구 결과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본 성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호서대학교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시범반 사례 분석을 통해이루어졌다. ‘개요 작성과 구성’에 대한 이론 학습은 5주차에 집중되었지만, 한 학기 동안 이루어지는 다양한 실습과 과제에서 개요 작성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 주도적으로 개요 작성 능력을 단계적으로 심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개요의 필요성과 핵심 방법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습자들이 실제 글의 논리적 흐름을 구성해 나가고 다양한 글에 적용해볼 수 있는 실제적인 전략을 체득해 나갈 때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판단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 학기 개요 작성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말하기와 글쓰기에 앞서 개요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하나의 글과 프레젠테이션을 효과적으로 작성해 볼 수 있었다. 또한 개요는 최종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다듬어져 글과 프레젠테이션의 목차로 활용되었다. 개요 작성 교육의 학습 효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4장에서는 시범반 학습자들의 최종 설문 결과가 분석되었다. 수강 전 개요 작성을 하지 않았던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수강 이후에는 개요 작성을 보통 이상 할 것이라고답변하며 변화된 태도를 보였고, 개요 작성 이론 학습이나 실습・과제 등이도움이 되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답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기의 학습 효과가 성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정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개요 작성 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실용 글쓰기를 지향하거나 비슷한 수준의 학습자들을 갖고 있는 다른 대학 교수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 요약
 1. 들어가며
 2. 대학 글쓰기 교재의 개요 작성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3. 효과적인 개요 작성을 위한 시범반 운영 성과
 4. 학습 효과 설문 결과 분석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세령 Kim Seryoung. 호서대학교 어문학부 한국언어문화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