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외 한글문학, 그 확산과 치유의 길

원문정보

Literature Abroad in Korean, the Spread and Healing

김종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Diaspora Literature’ refers to the literary works of North and South Korea, which are in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Koreans living abroad such as in the US, Japan, China, and Central Asia. The definition is in terms of literary norm as well as the liminality within different cultures. The writers in diaspora literature usually live in double language and culture, and these dual experience are shown in their works through diverse characters who deal with double life and troubles within. In the past, the narrow mind of ‘territorial principal’(속지주의, 屬地主義) was dominant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only those which were produced inside of Korean territory belong to Korean literature. However, the Koreans living abroad are now over 7 million, and those with Korean nationality have obtained the right to vote. The territorial principal have been taken down its power. Another traditional concern was ‘personal principal’(속인주의, 屬人主義), which discusses the creator of diaspora literture and his nationality. This matter is also fading away these days. ‘Language principal’(속문주의, 屬文主義), which values the language in literature and whether it is the writer’s mother language, is along with the same line. Besides these three, main theme or target audience of diaspora literature could also be in the topic of discussion.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focus on the outer factors, but to do on core matters. In other words, each literary piece should be valued on the ‘degree’ of containing elements of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the ‘qualification’ and whether it can be called as Korean literature. If the diaspora literature is to be the flower blooming in the Korean literary garden, the responsibility of cultivating and growing it out also belongs to the Korean literary world. And the first step should be the invitation to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nto this literary garden. The perspective of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is not going to be helpful for the integration. The diaspora literature, which is based on the 70 years of partition and restoration of independence, has reached to the point of healing and embracing at the moment. This new direction of unifying South and North Korean, Korean-American, Korean-Japanese, Korean-Chinese, and Korean-Central Asian literature is the royal summon of contemporary scholars. This long-term project is now to start a scholarly road as well as requiring more in-depth study in the field.

한국어

한반도의 남과 북에서 각기 다른 형식으로 축적된 남북한의 문학, 그리고미국・일본・중국・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축적된 해외 한인문학을 통칭하여 ‘한민족 디아스포라(diaspora) 문학’이라 호명한다. 문학의 개념적 범주에있어서도 그러하고, 서로 다른 문화권 내에 기식하고 있으면서도 독자적 문화의 성향을 이루고 있는 경계성의 측면에서도 그러하다. 이 작가들은 생태적 환경 자체가 이중 언어와 이중문화의 경계에 걸쳐서 살 수밖에 없고, 그런 만큼 작품에서도 민족・국가・성별 등 여러 층위에서 경계인의 삶과 애환을 설득력 있게 그려내고 있다. 과거에는 한국 내에서 산출된 문학이 아니면 한국문학이 아니라는, 매우 경직된 ‘속지주의(屬地主義)’의 생각이 정설로 되어 있었다. 해외 동포의 숫자가 700만 명을 넘고, 이 가운데 한국 국적을 가진 이에게는 선거권이 주어지는 실정이고 보면, 이제 속지주의를 주장할 수 있는 근거는 점차 빛을잃고 있다. 동시에 디아스포라 문학의 창작자가 누구냐, 어느 나라 국적이냐를 분별하는 창작주체의 문제가 있으며 이를 ‘속인주의(屬人主義)’라 호명하는데, 이 또한 앞의 기준과 동일한 형편에 있다. 그 창작에 소용된 언어가무엇이냐, 모국어냐 아니냐를 분별하는 ‘속문주의(屬文主義)’ 또한 사정이 마찬가지다. 더 나아가서는 작품의 중심 주제가 무엇이냐, 그 작품을 읽는 수용 층이누구냐 같은 부대적인 문제까지 제기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외형적 구분에 얽매이지 않고 보다 포괄적이며 활달하게 펼쳐지는 문학적 시야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각기 영역에 한국문학으로서의 자격이 있느냐 없느냐를 따지는 ‘가부’ 판단이 아니라, 각기 영역에 한국문학적 요소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가를 따지는 ‘정도’의 측정에 방점이 주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이들이 한민족 문학사의 터전에 핀 귀한 꽃무리라면, 이들을 잘 가꾸고그 명맥을 이어가도록 할 막중한 책임은 기본적으로 ‘한국문학’에 있다. 그책임의식으로 한민족 문학 전반을 디아스포라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이 한민족 문화권의 논리와 의미망 가운데로 해방 이래 한국문학과 궤를 달리할수밖에 없었던 북한문학을 초치하는 일이 모색되어야 한다. 실제적이고 물리적인 남북관계에 있어서도 그러하거니와, 문학에 있어서 북한문학에 남북한 대결구도의 인식으로 접근해서는 그 접점을 마련하거나 문화통합의전망을 설정하는 일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제 남북한과 재외동포들의 절실한 체험이 반영된 한민족 디아스포라문학은 역사적・문헌적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를 치유와 극복의 관점에서 연구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 이는 이 오랜 과제가 삶의 실상에 있어서 새로운 행로를 열어가야 한다는 당위성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고, 학술적 연구의 차원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보다 심화된 차원에서 지속해야 한다는 방향성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광복 70년이 분단 70년인 비극의 역사, 그와 같은 현실을 끌어안고 한반도와 동서양 각지에서 꽃핀 한민족 문학은 필요충분조건을 모두 갖춘 디아스포라의 모형이며, 이를 넘어서서 앞으로 나갈 길을 개척하는 것은 동시대 문학연구의 소명에 해당한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분포와 과제
 3. 한글문학 세계화의 방향과 새 방안 모색
 4. 치유적 관점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문학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회 Kim Jonghoi.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