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민화 ‘모란’의 언어학적 상징요소 재해석을 통한 디지털 주얼리 디자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igital jewelry desig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symbolic element of Peony flower in Minwha with Linguistic analysis

이지원, 나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imed to discuss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symbol structure of Minwha painting which not only expresses openness, flexible expression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of our ancestors but also possibly passes down as precious cultural heritage to modern society with new developed mediums. From this perspectives, as a method of research, modern jewelry design is created through digital process with linguistics analysis of its symbol structure that contains universal wishes of people. As a result, this research showed jewelry design and design process, titled “Blossom” and “Big Smile” grafting modern technology of 3D digital tool onto universal meaning symbolized by Peony flower, wealth and honor, and also grafted modern manufacturing methods of 3D printing and laser cut onto openness and flexible thinking in symbol structure in Minwha.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화 콘텐츠인 민화의 도상을 통한 상징체계는 근원적인 우리의 조상들의 긍정적이 고 개방적이며 유연한 사고방식의 표현이고, 의사소통의 방법이었으며, 이는 현대에서도 새로운 매체와 더불어 전승 할 수 있는 소중한 유산임을 논의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언어학적 분석을 토대로 보편적 소망을 담은 민화 도상중 하나인 모란의 상징 내용에 디지털 매체를 통한 주얼리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현대적 주얼 리 디자인을 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물로서 모란 도상의 보편적 소망인 부귀와 명예의 내용을 담은 Blossom 과 함 박웃음을 주제로 현대의 최신 기술들을 접목하여 3D 디지털 도구를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 및 변형 과정을 보여 주 었으며, 생산 방식에 있어서도 3D 프린팅 방식과 레이져 커팅 방식을 통해 민화의 상징체계에 있어서의 개방성과 유연한 사고를 접목하여 형상화 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본론
  2.1 민화란
  2.2 상징과 민화 상징도상 ‘모란’의 언어학적 분석
  2.3 민화 ‘모란’ 상징요소의 현대적 재해석
  2.4 디지털 매체를 통한 현대적 주얼리 형상화
 3.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지원 Ji-Won Lee. 홍익대학교
  • 나건 Ken Nah.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