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험재 거래의 장기지향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생활의 일부로서의 경험재’ 관점에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Long Term Orientation of Experiential Exchange - Experiential Products as a Part of Life -

정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long-term orientation in the setting of experiential exchange. To suggest the long-term orientation model of experiential products, we established the outline of model,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of general service/goods, and then adjusted the specific constructs which are included in the model, based on the attributes of experiential consumption. The long-term orientation model which we present in this study incorporates two effects including the experience-related factors and the exchange situation-related factors. The former factors consist of hedonic benefits, physical/psychological, symbolic, social benefit. And, the latter factors consist of asset specificity and alternative attractiveness as situational effects. Also, we expect that these benefits effect quality of life and asset-specific Investment/ alternative attractiveness effect dependence, in turn, quality of life/ dependence effect long-term orientation. Survey research is employed to test hypotheses involving experience benefits , asset-specific Investment, alternative attractiveness, and quality of life, Previous researches, such as marketing, leisure, hedonic research, have been referenced to measure constructs. We collected data involving various experiences, and used 288 respondents to analyze these data using LISREL structural modeling. All internal consistency measures are greater than .70, which is above the level set by Nunnally(1978) of .70, so the scales demonstrate internal reliability. In the measurement model, the fit indices for the model are as follows: =464.03(369 d.f), GFI= .87, NNFI= .91, CFI= .93, AGFI= .92, RMR= .085) Given the size of the sample,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statistic is significant. Therefore, the fit indices indicate satisfactory model fit. The proposed model was a good fit with the data(GFI= .98, NNFI= .89, CFI= .96, AGFI= .91, RMR= .043), all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05). Hedonic benefit( .28), physical/psychological benefit( .37), symbolic benefit( .17) and social benefit( .11) had positive effects on contribution to quality of life. And Asset-specific Investment had positive effects on dependence( .15), on the other hand,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had negative effects on dependence( -.17). In turn, contribution to quality of lif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dependence( .35) and Long-term orientation( .29). Also depend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ong-term orientation( .24) In the final section, we discussed several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managerial implications, including the potential to advance understanding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implying an enhanced ability to satisfy target consumers of these activities.

한국어

사람들이 삶의 질과 행복을 위해 정신적 가치를 더 추구하게 되면서, 경험재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개별 경험재 분야(예를 들어, 영화, 공연, 축제, 관광, 게임, 스포츠 등)를 범위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하나의 이론적 영역으로서 경험재를 설명하는 것은 부족하다. 그리고 경험재를 연구범위로 하여 진행한 연구들조차도 단순한 재경험이나 재선택을 설명하는데 그치고 있어서, 경험재를 마케팅적 시각에서 이론적으로 확장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재를 거래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경험재 거래의 장기지향성을 이끄는 요인들을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특히 경험재가 시간과 노력의 소비를 필수적으로 요하기 때문에 생활의 일부를 할당해야 한다는 경험재 거래의 특성을 반영하여, 생활과의 연관성 속에서 경험재 거래의 장기지향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경험재 거래의 장기지향성을 이끄는 요인으로서 경험요인과 거래상황적 요인을 제시하였고, 이 변수들이 생활의 질 기여도와 경험재에 대한 의존도를 매개하여 장기지향성에 주는 영향을 가정하고 검증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총 304부를 배포하고, 이중에서 288부를 LISREL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쾌락적 효익, 신체/정신적 효익, 상징적 효익, 사회적 효익은 모두 경험재의 생활의 질 기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경험특유투자는 경험재에 대한 의존도에 긍정적 영향을, 대안 매력성은 의존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활의 질 기여도가 높아짐에 따라 경험재에 대한 의존도와 장기지향성이 높아지고, 경험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장기지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험재의 장기지향성에 관한 부족한 연구를 보완하고, 경험재의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데 대한 실무적 활용점을 제공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2.1. 경험재에 관한 연구
  2.2 장기지향성에 관한 연구
  2.3 ‘생활의 일부로서의 경험재’와 장기지향성
 Ⅲ. 연구방법 및 측정
  3.1 연구표본선정 및 자료수집절차
  3.2 변수의 측정
 Ⅳ. 연구결과
  4.1 측정모형 검증
  4.2 이론적 모형 검증
 Ⅴ. 결론
  5.1 결과요약과 논의
  5.2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5.3 한계점과 미래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윤희 Jeong, Yun Hee. 건국대학교 글로컬 캠퍼스 경영경제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