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확산에 관한 연구: 국가 간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Online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 Focus on Cultural Distance

홍재원, 박숭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he global spread of cultural content of Korean Wave(Hallyu). In existed studies, it w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orean Wave diffusion. But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fluence of countries with relatively less interest in diffusion of Korean Wav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hat explain diffusion of Korean Wave using empirical data to show worldwide spread of Korean Wav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trying to investigate cultural effect of countries in the global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through empirical data of "Gangnam style" Korean Wave diffusion phenomenon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ultural values ​​of Hofstede, on the basis of data that was collected through the "Google Trends", we investigate the cultural effect on the global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usion of Korean Wave influenced by ICT environment and specific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ations. It is as follows in more detail. First, the Korean Wave is well diffused in the country with strong individualism and large power distance. For the diffusion of Korean Wave, we should keep an eye on the country of large tendency of social unequality. Also we have to consider the country of the individual freedom and achievement are considered very meaningful. Second, the individualism, uncertainty avoidance, the network index and the brand index influence on the diffusion timing of the Korean Wave. In other words, Starting of Korean Wave is well in the country which brand index is low. And the diffusion take-off is good in the country with well ICT environment and low uncertainty avoidance. In the country with strong individualism, Inflection is tendency to last. These results is likely to help developing diffusion strategy of Korean Wave according to the diffusion time. Third, the Korean Wave lasts for a long time after take-off in the country with a high network index and low brand index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we should target the country with low brand index for the mega hit of Korean Wave. And we have to use the Internet and network environment such as social media utiliz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글로벌 확산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한류 확산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류 확산에 있어 각국의 문화적 영향에 대한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가졌다. 또한 한류 콘텐츠의 전 세계적인 확산을 확인해 줄 실증적인 자료로 한류 콘텐츠의 확산을 설명하기도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인 한류 확산의 자료가 확인되는 ‘강남스타일’ 한류확산 현상을 중심으로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에 각국의 문화적 영향을 실증자료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홉스테드의 문화가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구글 트렌드’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류의 글로벌 확산현상에 미치는 문화적 영향을 파악하고 있다. 연구결과 한류 콘텐츠의 확산은 국가 간 특정한 문화적 차이와 ICT환경이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 콘텐츠는 권력거리가 크고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 내 불평등 기조가 상대적으로 큰 국가나 개인의 자유와 성취가 중요시 되는 국가를 대상으로 한류 확산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한류 콘텐츠의 확산시점은 개인주의, 불확실회피성, 네트워크지수 및 브랜드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확산시작은 ICT 환경이 좋고 브랜드지수는 낮은 국가에서 빨리 일어나고, 확산이륙은 ICT 환경이 좋고 불확실회피 성향이 낮은 국가에서 빨리 일어나며, 확산변곡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 콘텐츠 확산의 확산시기별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한류 콘텐츠는 네트워크지수가 높고 브랜드지수는 낮은 국가에서 확산이륙 후 지속적인 확산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한류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를 대상으로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등의 네트워크 활용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2.1. 문화적 차이
  2.2. 한류 문화콘텐츠 확산
 III. 가설 설정
 IV. 연구방법
  4.1. 연구데이터
  4.2. 데이터 특성
 Ⅴ. 연구결과
  5.1. 문화적 거리와 확산크기
  5.2. 문화적 거리와 확산시점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재원 Hong Jae-Weon. 동서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 박숭배 Park, Seung-Bae. 서일대학교 산업시스템경영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