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통한 네트워크 공간에서의 집합행동 탐구 : 공공분쟁으로 분류된 집합행동의 저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Research Study of the Collective Action in Connected Space Using a System Dynamics : Focus on the Blocking to Collective Action of Public Disputes

박령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llective actions had occured in modern society is not a just political action. Because it is not governed by a particular population in particular politics area, but is expressed by voluntary unspecified numbers in the new media space specially in the internet space, which is based on the connection. Therefore collective action redefines as action mediated through a new media to assume connection, and it is conventionally exactly the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actors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consist of network. So it is necessary to attempt completely different new methodologies to the collective action. In this study, system dynamics of complex systems is a suggestion of new methodology to the collective action in the connection space. As a results, blocking of the collective action in the connected online space has been found that influenced the sanctions against informal media exploitation but only in operating a function of observing the size of the collective action.

한국어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집합행동은 특정한 집단에 의해 주도되고 발전되는 제한된 정치적 행동이 아니라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이라는 뉴미디어 공간에서 발현되어 불특정한 행위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발적인 협업의 결과물로 변모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결성을 전제하는 뉴미디어를 통해 매개되는 집합적 행동은 네트워크라는 환경 조건에서 활동하는 행위자들 사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가 확산되는, 기존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사회적 집합행동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 방법적 접근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론적 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공공분쟁으로 분류된 집합행동의 저지와 관련한 일련의 커뮤니케이션을 복잡계적 현상으로 보고, 복잡계 방법론인 시스템다이내믹스 분석을 통해 시뮬레이션으로 모델링하는 시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은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부족했던 시간 변수와 개별 행위 요인들 사이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포함한 연구 모델의 설정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 네트워크 공간에서의 집합행동에 대한 저지는 비공식미디어 이용 행위에 대한 공적인 개입에 영향을 받으며, 집합행동에 가해지는 공적 개입의 시기와 시간적으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1. 문제 제기
 2. 네트워크 공간의 집합행동에 대한 복잡계적 접근
  1) 복잡계 이론으로 바라보는 집합행동
  2) 네트워크 공간에서 집합행동 저지와 관련하는 요인들
  3) 시스템다이내믹스의 활용
 3. 시행연구
  1)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 집합행동의 분석 방법으로서 시스템다이내믹스
 4. 연구 결과
  1) 모델의 복잡계적 구조 : 터닝 포인트의 발생
  2) 집합행동의 저지 :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공적 개입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시나리오 설정 시 사용된 상수의 자료
 Abstract

저자정보

  • 박령주 Park, Lyoungjoo.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