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뉴스보도의 책임귀인 프레임 유형과 위험 속성이 범죄의 책임소재, 수용자의 정서적 반응과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질환자 범죄 기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Types of Responsibility Frames and Peril Attributes in News Reports Related to the Mentally Ill Criminal on the Social Stigma Effects

한성준, 유홍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stigma effects which are caused by news reports related to the mentally ill criminal. For validating the social stigma effects, this study explored whether news audienc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are differed depending on the way of highlighting two stigma message attributes: responsibility and peril.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responsibility frames: personal responsibility frame/societal responsibility frame) × 3(peril attributes: symptom-related peril/crime-related peril/control group condition) between-subjects factorial. A total of 211 undergraduates partook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nts’ interpretation of causes, solutions, dangerousness of mentally ill’s crime by variating responsibility frames and peril attributes. There was a difference in participants’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of mentally ill’s crime with the use of different responsibility frames. Also, the use of societal responsibility frame elicited more participants’ pity than that of personal responsibility frame.

한국어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 범죄보도에서 책임귀인 프레임 유형과 정신질환과 관련된 위험 단서유형이 범죄의 책임 소재, 수용자의 정서적 반응과 행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정신질환자 범죄와 관련한 뉴스 기사를 실험기사로 선정하였고, 실험설계는 2(책임귀인 프레임: 개인책임귀인 프레임, 사회책임귀인 프레임) × 3(위험 단서: 질환위험 단서, 범죄위험 단서, 단서 없음)의 집단간 요인설계이었다. 실험은 대학생 총 2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책임귀인 프레임 유형에 따라 수용자들의 정신질환자 범죄에 대한 책임귀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 책임귀인 프레임은 정신질환자의 범죄를 사회적 책임으로 돌리며, 개인 책임프레임은 정신질환자의 범죄를 개인 책임으로 돌리도록 하였다. 사회 책임귀인 프레임은 개인 책임귀인 프레임보다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동정의 정서를 더 강하게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위험 단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1) 사회적 낙인의 개념과 미디어의 정신질환 묘사
  2) 책임귀인 프레임과 위험 속성
  3) 정서적 반응과 행위적 차원에 대한 낙인 메시지의 효과
 3. 연구방법
  1) 실험 개요
  2) 실험 참여자 및 실험 절차
  3) 실험 처치물의 구성
  4) 측정 변인
 4. 연구결과
  1) 책임귀인에 대한 분석 결과
  2) 정신질환자에 대한 위험성 인식에 대한 분석 결과
  3) 정신질환자에 대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분석 결과
  4) 차별행동 의도에 대한 분석 결과
 5. 결론
  1) 결과의 요약 및 논의
  2)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성준 Seongjun Han.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석사
  • 유홍식 Hongsik Yu.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