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중기 지방백자의 기형분석과 변화양상

원문정보

Formation Analysis and Change Trend of Regional White Porcelains in the Mid-Joseon Period

김태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gional white porcelains in the mid-Joseon period are difficult to study since production periods are unknown due to lack of direct literature data or chronological records. In this study, roduction periods a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seriation after classifying formations of regional white porcelains in the mid-Joseon period to overcome such issues. Types of regional white porcelains excavated from kilns are classified focusing on daily tablewares such as bowls(鉢), large bowls(大接), dishes(楪匙), small bowls(鍾子) and cups(盞). Then, each type is classified by its own properties from the formations of the opening, the body and the bottom signifying the porcelain’s characteristics. And relative chronology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riation on the formations of porcelains classified according to such method. The analysis results of regional white porcelains shows that regional white porcelains are available to classify in 3 phases. And the specific production period of each phase is examined by comparing white porcelains from Gwangju Royal Kiln available for the chronolog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gional white porcelains in each phase, regional white porcelains in Phase I (early 17th Century) are simplified for having 1 or 2 formations in the same type of ware that have been changed to curved forms showing fat volumes from the diagonally extending forms in early Joseon period. Regional white porcelains in Phase II (late 17th Century) introduce new forms that the sidelines are curved and extended, yet sharply bent on extroverted opening areas. At the bottom areas, bamboo node shaped feet and vertical shaped feet in the previous phase are disappeared while concave shaped feet are mostly produced.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regional white porcelains in Phase III (early 18th Century) are variety in the formations. New forms having the bottom areas bent inward or the body areas cut in multiple faces are introduced. Also, at the bottom areas, while only concave shaped feet are produced in previous phases, concave shaped feet having extroverted foot cross-sections and vertical shaped feet produced separatedly and attached to porcelain bodies appear. Regional white porcelains in the mid-Joseon period change through such 3 phases from Phase 1 to 3. Phase 1 is determined to be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middle period ofregional white porcelains in Joseon Dynasty. In Phase II, regional white porcelains show genuine trends in mid-Joseon period after the white porcelain forms in the early Josoen Dynasty of 17th Century. White porcelains in various forms are produced showing similar trends in periods before Phase II while refining and mass manufacturing are in process.

한국어

조선 중기 지방백자의 연구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직접적인 문헌자료나 편년자료가 없어 제작시기를 추정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조선 중기 지방백자의 형식을 분류한 후 순서배열법을 사용하여 제작시기를 추정하였다. 지방백자의 형식분류는 가마에서 출토된 유물 중에서 발·대접·접시·종자·잔 등의 일상용기를 중심으로 기종을 구분하였다. 이후 각 기종은 기형의 특징을 잘 나타나는 구연부, 동체부, 저부로 나누어 각각의 속성을 부여하여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백자의 형식을 순서배열법을 사용하여 상대편년하였다. 지방백자를 분석한 결과, 지방백자는 3개의 단계로 나누어지며, 지방백자의 단계는 편년이 가능한 광주관요 백자와 비교하여 구체적인 제작시기를 추정하였다. 단계별 지방백자의 특징을 살펴보면, 지방백자Ⅰ期(17세기 전반)는 동일한 기종 내에서 1~2개의 형식만을 제작되어 기형이 단순화되었으며, 조선초기의 사선으로 벌어지는 형태에서 풍만한 양감을 보이는 곡선형태로 변화하였다. 지방백자Ⅱ期(17세기 후반)는 기측선이 곡선으로 벌어지고 구연이 외반된 형식과 함께 기측선이 각이 지게 꺾이는 형식이 새로이 등장하였다. 저부는 이전 시기의 죽절굽과 수직굽은 사라지고 오목굽이 주로 제작되었다. 지방백자Ⅲ期(18세기 전반)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형식의 백자가 제작되었고 동체 하단부에서 꺾여 내만하는 형식과 동체외면을 여러 면으로 깎은 형식 등이 새로이 제작되었다. 또한 저부의 형태에서는 기존에 오목굽만을 제작되었던 것에서 굽단면이 외반한 오목굽과 굽을 따로 제작하여 부착한 수직굽이 등장한다. 이와 같이 조선 중기 지방백자는 Ⅰ~Ⅲ期의 세 단계를 거치며 변화하였다. 지방백자 Ⅰ期는 조선 전기 백자에서 조선 중기 백자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로 판단되며, 지방백자Ⅱ期는 17세기 조선 전기의 백자양상을 벗어나 본격적인 조선 중기 백자양상을 보여준다. 지방백자Ⅲ期 이전 시기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나 다양한 형식의 기형이 제작되었으며, 지방백자의 조질화와 대량생산화가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지방백자의 형식분류와 선후관계
  1. 분석기준 설정과 형식분류
  2. 지방백자가마의 선후관계
 Ⅲ. 조선 중기 지방백자 편년을 위한 관요백자 형식검토
 Ⅳ. 지방백자의 시기구분과 변화양상
  1. 지방백자의 시기구분
  2. 지방백자의 변화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홍 Tae-hong Kim. (재)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