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강신념모델을 확장한 소셜게임(Social Game) 보안의지행동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ecurity independent behavior in social game using expanded health belief model

안호정, 김성준, 권두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over recent years, social network services are experiencing rapid growth. On top of this, smartphone gaming market is showing a rapid growth and the use of mobile social games is on the significant rise. The occurrence of game data manipulation targeting these services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gaming secur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development plans effective and efficient in social game services by figuring out factors putting effects on security dependent behavior of social game users in Korea and carrying out a practical study on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fluencing security dependent behavior through recognized behavioral control and attitudes for privacy infringement of these factors. To do this, proposed was a study model in which the HBM(Health Belief Model) allowing the social game user to influence security dependent behavior was expanded and applied as a major variable. To verify the study model of this study practicall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based K University and S University who had experienced using social game services.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firstly, the perceived seriousness turned out to provide positive influence to trust. But, the perceived seriousness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Secondly, the perceived probability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trust. Thirdly, the perceived gain turned ou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trust. Fourthly, the perceived disorder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trust. Fifthly, self-efficacy turned out to put positive effects on trust. But, self-efficacy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curity dependent behavior. Sixthly, trust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curity dependent behavior.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a strategic proposal so that social game users can raise awareness of their level of security perception and security willingness through this.

한국어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 보급의 대중화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급격히 발달하고 있다. 거기에 스마트폰 게임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모바일 소셜 게임(SG)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게임 데이터 조작,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소셜 게임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소셜게임 이용자들의 보안의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 요인이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인지된 행동통제와 태도를 통하여 보안의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자기효능감과 신뢰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함으로써 소셜 게임 서비스에서 보안의지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셜 게임 사용자가 보안의지 행동에 영향을 주는 건강신념 모델(HBM : Health Belief Model)을 확장하여 주요 변수로 적용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소셜 게임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S대학, D대학의 대학생들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심각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각된 심각성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개연성은 자기효능감과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이익은 자기효능감과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장애는 자기효능감과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은 보안의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뢰는 보안의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셜 게임 이용자들의 인식 제고로 인한 보안 인식 수준과 보안의지가 높아질 수 있도록 전략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1. 연구모형의 설정
  2.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1.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2.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Ⅴ. 가설 검증 및 분석결과
  1. 표본의 기술적 특성
 Ⅴ. 가설 검증 및 분석결과
  1. 표본의 기술적 특성
  2.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 검증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호정 Ahn, Ho-Jeong.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산업보안학과 석사과정
  • 김성준 Kim, Sung-Jun.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산업보안학과 교수
  • 권두순 Kwon, Do-Soon.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