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적개발원조(ODA) 전문가의 이미지에 관한 Q유형 분석

원문정보

Typology Study on and Attendant Assistant Image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xperts

정백, 김경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Paper was based on practical method to examine a subjectivity of ODA experts` images. It was used Q-methodology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I found 4 types of images out throughout the process totally. The perception patterns came out in the research were divided into 4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s is following ; Those are separated 4 types like Type 1(called operationally individual type), Type 2(arbitrary type), Type 3(mellow type), Type 4(onlooking type). These types consist of each elements to evaluate ODA experts from the people minds. Therefore, This study give us one way to take an assessment of ODA projects. The results reveal that korean ODA policy more has to depend on the scientific evaluation of the person participated in each projects. And the findings demonstrate good questions in comparing with trends of ODA distributor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uch as OECD/DAC.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활동하는 ODA 전문가의 이미지에 관하여 보다 심층적이고본질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Q방법을 통해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하는전문가들의 이미지관한 이미지 수용 유형을 분류해서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서 분석해 보는 것이다. 분석결과 ODA전문가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유형은 개성형, 제2유형은 독단적 유형, 제3 유형은 유유자적 유형, 제4유형은 방관적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4개의 유형이 비슷하게 합의한 진술문은 총5개이다. 이는 제1유형에서부터 제4유형까지의 진술문들에 대한 의견일치를 보여주는 항목이다. 여기에서 피응답자들은 Q16(겉과 속이 다르게 보인다), Q19(학력이 높아 보인가), Q10(책임감이 있다), Q8(신속하게 일처리를 한다)의 진술문에 대체적으로 동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Q4(공사구분이 철저하다)라는 의견에 부정적인 것으로 보아, 응답자들은 국제개발협력 강의를 진행하는 ODA전문가들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그동안 ODA사업에 참여한 전문가들과 관련하여 주로 직무분석이나 전문인력 수급 및 교육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자들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못했다는 점에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겠다. 따라서 추후 발전된 연구방향은 수원국 주민들이한국의 ODA 전문가들의 이미지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사회과학적 방법을 통해서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ODA 전문가의 이미지
  2. ODA사업 인식제고
 Ⅲ. 연구문제 및 연구설계
  1.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 연구설계
  3. 자료수집 및 측정방법
 Ⅳ. 연구결과
  1. 인자가중치(factor weight) 및 표준점수(Z-score)
  2. 각 유형의 설명변량 및 상관관계
  3. 각 유형별 특성 분석
  4. 유형간 차이분석
  5. 일치하는 항목별 분석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백 Jeong, Baek.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김경원 Kim, Kyoung-Won. 부산인적자원개발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