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白羊寺 淸流庵 七星幀의 作家와 年代 추정

원문정보

Study on Chilseongtaeng Painting kept at Cheongnyuam of Baegyangsa Temple

백양사 청유암 칠성정의 작가와 년대 추정

장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tar worship had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is countrybefore being incorporated into Taoism and Buddhism, which were introduced to Korea from outside,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form of religion. Star worship was expanded particularly through Buddhism. A leading belief of star worship is Chilseong(literally meaning “Seven Stars”), which is centered on the North Star and the Big Dipper. Many Buddhist temples in this country have a shrine associated with Chilseong, usually hidden in some recess. These shrineswere built around the lateJoseon Period (1392-1910), and usually given such names as Bukdugak (Big Dipper Pavilion), Bukgeukbojeon (North Star Hall), Chilseongdan (Big Dipper Altar), or Samseonggak (Shrine for the three spirits, includingtathagatas of the Big Dipper). They used to occupy a dominant position compared to other structures in Buddhisttemplesdue to the influence of Chilseong belief. The Chilseongtaeng (Buddhist painting of tathagatas of the Big Dipper) kept at Cheongnyuam Hermitage, Baegyangsa Temple is another artwork based on Chilseong worship. Despite itsdamaged lower part, researchers regard it as a valuable Chilseongtaeng of the late Joseon Period due toits inclusion of the namesof all the figures in the painting, its unique horizontally elongated composition, and its refined painting style.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rtist and the production date of the work based on its style and pattern and on information aboutartistsof that period and their activities. This paper estimated the work to date from the mid-19th century after comparing it with other late-Joseon Buddhist paintings kept in Jeolla-do, Baegyangsa andnearby areas. The estimateincluded the work of listing all the leading Chilseong-related Buddhist paintings in Jeolla-do.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works produced by a group of Buddhist painters led by a monk named Ikchan are the closest to the one in question in terms of their style and pattern. Thus, it is presumed that the painting was made by a group led by Ikchan or Naewon or by both of them together. Thus, by meticulously comparing the styles of Ikchan and Naewon, it was considered more plausible that the artist who produced the painting was Ikchan. Finally, after examining the works of Ikchan, who dedicated more than forty years of his life to painting,it was concluded that he produced the work sometime between the mid-1830s and the mid-1840s, when his skill and experimental spirit wereat their peak.

한국어

우리나라 성수신앙은 토착적인 요소가 전승되어 오다가 道敎와 佛敎의 유입으로 이들 종교 체재에 편입됨으로써 독특한 신앙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특히 불교를 통한 성수신앙의 확장은 우리나라 성수신앙의 성황에 크게 기여했으며, 그 대표적인 신앙이 북극성과 북두칠성을 중심으로 하는 칠성신앙이다. 현재 우리나라 불교사찰에는 대개 조선후기~말기에 건립된 칠성신앙 관련 전각들이 경내 후미에 자리 잡고 있다. 北斗閣·北極寶殿·七星壇·三聖閣 등으로 불리는 이 전각들은 타 전각과 비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당대의 칠성신앙 성행을 실감할 수 있다. 백양사 청류암 <칠성탱>도 그 중 하나인데, 비록 화면의 하단이 훼손되었지만 전체존상에 대한 존명이 명기되어 조선후기 칠성탱으로서 도상적 가치가 높고, 가로확장의 독특한 구도와 고격한 화풍은 조선후기 칠성탱으로서 중요한 자료적 위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이 불화의 작가와 제작연대에 관심을 갖고 이를 규명하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회화형식에 따른 양식적 편년, 동시대 불화작가들의 활동과 그들의 화풍검토 과정을 통해 청류암 칠성탱의 조성시기와 작가를 추정해보았다. 먼저 조선후기 전라도 및 백양사와 인근에 유존하는 조선후기 불화작품과 청류암작의 비교해 이 작품의 제작시기를 19세기 중반으로 비정하였다. 이어 전라도지역 불화 중 대표적인 칠성탱화만을 목록화하여 유형을 구분하였고, 이중 ‘익찬그룹’의 작품들과 청류암 칠성탱의 친연성을 도출해내고 이 불화를 일단 익찬 또는 내원, 또는 익찬과 내원의 공동 참여작으로 추정했다. 다음으로 익찬과 내원의 타 불화작과 청류암 칠성탱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익찬과 내원의 화풍을 분리시켜 청류암 칠성탱을 익찬의 작품으로 좁혀 추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작품의 제작연대는 40년 이상의 화업활동을 한 익찬의 작품들과 대조함으로써 청류암 칠성탱이 회화적 기량과 실험정신이 고조되었던 전성기인 1830년대 중반 이후~1840년대 중반 이전으로 추정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칠성신앙과 칠성탱
 Ⅲ. 청류암 칠성탱의 현황과 양식특징
 Ⅳ. 작가와 연대 추정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희정 Jang hui-jeong. 금강문화관 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