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러시아 소비자들의 소비체험과 소비성과의 관계 -소비유형과 지식유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김분태, 공희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sing the data from a survey, this paper explores how consumption experience affects consumption performance when consumption types and knowledge types are different. Consumption experience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such as external and internal based on the industry classification index and ethnographic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each of dimensions of consumption experience has the influence and pretty much same weight on consumption performance. But upon the types of consumption and knowledge, the result was different. for hedonic consumption, internal experience affects the consumption performance more than external, on the type of practical consumption, external experience affects on performance more than internal. For knowledged consumers, both external and internal experience make effects on the judgement. But for the consumers in paucity of information on the product or service, managers need to mainly focus on inducing internal experience. Through these foundations, marketers need to manage consumers' experience and give different weights on each specific consumption experience following consumption type. And they also need to consider the consumers's knowledge intensity and the way it was formed to pursue the performance. These results accounts for Russian culture on the loose opportunity of consumption experience and the way of knowledge form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러시아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로 소비체험의 영역을 발견하고, 각 체험영역과 소비성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소비유형은 소비자들이 방문한 곳에 대해 러시아표준산업분류 및 ethnographic 인터뷰를 통해 쾌락적 소비와 실용적 소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러시아 소비자들의 소비체험은 내적 체험과 외적 체험으로 구분되며, 두 유형의 소비체험은 소비성과에 비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유형에 대해서는 쾌락적 소비의 경우, 상대적으로 내적 요인이 소비성과에 크게 작용하는 반면에 실용적 소비의 경우, 외적 체험이 소비성과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소비자 제품관련 지식에 대해서는, 높은 지식을 가진 소비자들은 지식유형에 상관없이 외적 체험이 중요하였으나, 낮은 개념지식의 소비자들의 경우, 내적 체험만 유의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영향력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러시아 소비자들에게 소비체험은 소비유형에 따라 다르게 관리되어야 하며, 체험의 세부 영역의 상대적인 고려도 달리 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소비자지식이 실제 경험 혹은 간접지식으로 형성되었는가에 따른 성과의 차이가 크지 않음으로 인해 소비자지식유형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아도, 지식의 정도에 따라 소비성과에 미치는 소비체험을 다르게 관리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체험의 기회 및 지식형성의 방식에 대해 다소 느슨한 러시아 문화에 기반 한다고 볼 수 있다.

목차

요약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background
  2.1 Exploring the notion of experience
  2.2 Consumption types
  2.3 Knowledge types
 Ⅲ.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development
  3.1 The relationship of consumptio nexperience and consumption performance
  3.2 The relationship of consumption experience, consumption type and consumption performance
  3. The relationship of consumption experience, knowledge and consumption performance
 IV. Empirical analysis
  4.1 Operational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constructs
  4.2 Research method
 Ⅴ. Findings
  5.1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of the constructs
  5.2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subjects
 Ⅵ. Conclusion
  6.1 Summary and discussion
  6.2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분태 Kim, Buntae. 동서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공희숙 Gong, Heesook. 동서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