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강 하류 마한 취락의 편년과 전개 과정

원문정보

The Settlements of Mahan and their process of development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송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olities through chronology of Mahan styled settlements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For this, we placed the settlements in order as types of Baekje pottery in Hanseong period with the rate of excavation of hard-plain pottery and paddling pottery. Also, we considered the change of type of pottery existed relatively long term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ve order of settlements. As a result of chronology, we could find out that the polities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largely experienced changes of 4 steps. In the first stage, nationwide scaled pottery from foreign coexisted with native-triangled clay strip pottery as a typical example of settlements in Woonbook-dong, Incheon. It wasn’t very clear because of few case, we could find out that the area of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was base for the network of long distance trade between Sandong area in China and the west coast of Korean Peninsula. In the second stage, production system of paddling pottery was completed by appearance of middle-large sized string container by stages with paddling container such as deep bowls shaped pottery and long egg shaped pottery. In the third stage, the differently shaped pottery, which was a new and ceremonial poterry,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was appeared and widespread. This new type of pottery was designed to raise a sense of fellowship through participation in common ceremony of polities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Paju, Kimpo, Incheon. The third stage was started in Ⅲ-2 period of the pro-Three Kingdoms and continued in 1 period of Hanseong Baekje. By the first half of 4th century, the ceremonial pottery was dissipated because of extension of influence of Baeckje to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한국어

이 글은 한강 하류 마한계 단위 취락을 편년함으로써 이 지역 정치체의 변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단위 취락들을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 출토율과 더불어 한성기 백제토기 기종을 기준으로 순서 배열하였다. 또한 배열된 단위 취락들의 상대 순서를 검토하기 위해 비교적 존속 기간이 긴 토기 기종들의 형식학적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편년 결과에 따르면, 한강 하류의 지역 정치체는 크게 4단계의 변화 과정이 확인되었다. 먼저 Ⅰ기는 인천 운북동유적이 대표적인 취락 사례로 전국계 외래토기와 재지계 삼각형 점토대토기가 공반되는 단계이다. 유적 사례가 많지 않아 분명치 않지만, 한강 하류 지역이 중국 산동 지역과 한반도 서해안을 연결하는 원거리 교역망의 거점으로 부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Ⅱ기는 심발형토기, 장란형토기와 같은 타날문 취사용기와 더불어 중, 대형의 저장용기가 단계적으로 출현하여 한강 하류 지역에 타날문토기 생산 체제가 완성되는 단계이다. Ⅲ기는 한강 하류에 이형토기라는 신 기종의 생활 의례용 토기가 출현하여 유행하는 단계이다. 이 새로운 토기는 파주, 김포, 인천 등 한강 하류의 지역 정치체들이 공동의 생활 의례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적 유대감을 고양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3기는 원삼국 Ⅲ-2기에 시작하여 한성 1기까지 지속되는데, Ⅲ기가 끝나는 4세기 전반을 기점으로 백제의 한강 하류 지역으로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생활 의례용 토기가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I. 머리말
 II. 중서부 지역 마한 지역권 설정
 III. 한강 하류 마한 취락의 편년
  1. 단위 취락의 시간적 상대 서열
  2. 상대 서열 검토
 IV. 한강 하류 마한 취락의 전개 과정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송만영 Song, Man Young.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