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사 카메라옵스큐라와 빛의 선형성

원문정보

The Paleolithic Camera Obscura and the Linearity of the light

지승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im to overlook the meaning of natural phenomena with the paleolithic camera obscura and inscribe Prehistoric significance of the Camera Obscura. It is ultimately to redefine the dots and line as formative elements. Also this article will show the hidden possibility of drawing by modern art as one of the ‘impressionist’ painting style. But it eventually can be said that these attempts imply extended meaning from the historical to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e paleolithic camera obscura informs about the visual culture that we need recognize. In this paper, the paleolithic camera obscura shows the relationship bwetween dots and lines as formative elements. But this also is the beginning of a new perspective to photograph and film as visual culture and culture contents.

한국어

본 논문에서 필자는 카메라 옵스큐라의 의미를 확장하기 위하여 근대적 담론에서 벗어나 선사시대를 그 출발지점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 옵스큐라의 특성을 자연의 현상으로 재규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카메라 옵스큐라의 존재를 선사시대로 환원시켜보면 그 안에서 포착되는 이미지의 특성, 예컨대 점과 선의 관계는 오히려 새롭게 조망될 수 있는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도 속에는 궁극적으로 회화적 전통에서 점과 선의 관계를 재구성하려는 의도가 놓여 있고, 카메라의 역사적 의미를 인류학적 관점에서 확장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카메라 옵스큐라의 자연현상적 의미를 근대예술 중 하나인 ‘인상파’화풍과 접맥시킴으로써 점의 가능성을 조망하고, 근대적 이미지 분류체계인 범죄인 사진 목록의 의미를 선의 가능성이 확장된 것으로 조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점과 선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결과적으로 우리가 보편적 지식으로 알고 있는 것을 향해 던지는 질문이며 이를 통해 의미의 재발견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영상문화학적 관점에서, 동시에 예술사의 관점에서 누락지점을 확인하는 작업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본론
  (1) 선형공간의 의미
  (2) 특수한 경험으로서의 시점
  (3) 선사 카메라옵스큐라
  (4) 선사 카메라옵스큐라의 응용
  (5) 선사 카메라 옵스큐라의 선과 점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지승학 chi, seung-hak.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