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式 漢文의 문체적 특징에 대한 小考 -임진왜란 시기 狀啓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Joseon Style Hanmun (朝鮮式 漢文) in Jang-Gae (狀啓) during Imjin War (壬辰倭亂)

조선식 한문의 문체적 특징에 대한 소고 -임진왜란 시기 장계를 중심으로-

박선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Jang-Gae(狀啓) during the period of Imjin War(壬辰倭亂), especially those written by Ryu Seong-Ryong(柳成龍)․Yi Sun-Sin(李舜臣)․Jeong Moon-boo(鄭文孚), and its change when edited to be collected in Sillok(實錄) or Munjip(文集), to study Joseon style Hanmun writing(朝鮮式 漢文). The main features of Joseonese style appeared in Jang-Gae(狀啓) are as follows: (1) Joseon’s own words that consists of Chinese characters(朝鮮式 漢字語) were used. The application of Idu(吏讀) for copulative ending, postpositional words and colloquial word were dominant. (2) The use of Joseonese compound verb(朝鮮式 複合動詞), 措備(to manage and prepare) and 分給(to allot and distribute) for example, which combinate two verbs to clarify the predicate makes the sentences understood accurately and precisely. (3) Since conveyance of contents was the top priority in Jang-Gae(狀啓), the style was simple and rhetorical devices such as metaphor or citation were eliminated or minimized. Unlike the standard Chinese classical writing style, Joseonese Hanmun, especially that was written in practical administrative documents, avoided the style of highly elaborated classical Chinese writing to focus on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한국어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시기의 장계(狀啓) 중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이순신(李舜臣, 1545~1598)․정문부(鄭文孚, 1565~1624) 세 사람의 장계를 연구대상으로 전형적 중국식 한문계열과 다른 우리 고유의 한문, 즉 ‘조선식 한문(朝鮮式 漢文)’의 문체적 특징에 대해 살피고자 한 것이다. 장계의 문장을 검토하여 살펴본 조선식 한문의 문체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선식 한자어(朝鮮式 漢字語)’가 사용되었다. 조선식 한자어의 사용에서 가장 큰 특징은 연결어미류 이두, 조사, 어휘의 활용이다. 연결어미류 이두의 사용은 말뜻이 분명하게 해석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중적으로 해석될 소지가 없으며 사건의 정황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정격한문의 문장에서 주격조사는 대부분 생략되거나, 어조사 ‘之’로써 관형격(-의)․주격(-이/가)․대격(-을/를) 등의 여러 가지 문법적 기능을 표기한다. 반면, 조선식 한문에서는 한자의 차자표기법을 활용하여 우리말의 다양한 조사를 표현했다. 그리고 정격한문의 정제된 어휘를 사용하지 않고 당대 사용되었던 어휘들을 활용함으로써 구체성과 현장성을 확보하였다. (2) ‘조선식 복합동사(朝鮮式 複合動詞)’가 사용되었다. ‘조처하여 마련하다[措備]’․‘나누어 주다[分給]’과 같이 두 개의 동사를 결합한 복합동사의 사용은 서술부의 의미를 명확하게 해주어 정확하고 간명하게 의미를 전달해준다. (3) 내용 중심의 의사전달을 목적으로 작성하였기 때문에 비유나 전고 등 수사적 표현이 배제되거나 최소화 된 건조한 문장을 구사하였다. 특히 국가운영과 관련된 실무적인 행정업무에서 사용되었던 우리 고유의 한문인 조선식 한문은 내용 전달을 중심으로 하는, 정격한문의 형식미-전고의 활용․완곡한 화법․정제된 어휘의 사용․편장의 구성-가 배제되거나 최소화 된 실용적인 문장이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임진왜란시기의 장계와 주요 자료 현황
 3. 장계를 통해 본 조선식 한문의 문체적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선이 Park Seonyi. 고려대학교 국문과 박사과정(한문학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