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증산 수양론의 주체성에 관한 연구 - 미륵신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thought on the subjectivity in Jeung-san's theory about cultivation : focused on the correlation with faith of Maitreya(彌勒)

김영주, 윤재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eung-san called himself ‘Sang-Je’(上帝; the Supreme God) having status of the highest ruler. He found the Budda of Maitreya(彌勒佛) as the proper description of himself in order to inform that he had achieved the awakening spiritual state of the enlightenment. This was his intention to claim the dawn of the new world through faith of Maitreya(彌勒). The new world, suggested by Jeung-san, requires several necessary conditions, which are ‘the authority of god’, ‘the effort of human being within strong will’ and ‘self-cultivation of mind’. Sang-Je functions as the moral basis for human being to make themselves realize and restore their own nature by means of letting them take the awe and respect toward god. Therefore, each individual, who strives to cultivate his own mind, could have the basis of moral subjectivity, regarding it as Sang-Je. According to this aspect, human being is supposed to act on the basis moral and goodness and realize his own good will. However human nature in the real world lives in the mixture of good and bad, so it always faces the conflicting situations that would require one to choose one or another. Because of this, the individual within the moral subjectivity must put his desperate efforts to cultivate himself constantly to prevent their mind from being conquered by lusts and desires disturbing his morality. This is the reason why the cultivating theory focuses on Sincerity(誠)․Reverent seriousness(敬)․Faith(信) for mind, called three prime truth(三要諦), for the purpose of taking the suitable choice for the good no matter what sorts of circumstances would be faced.

한국어

증산은 자신을 최고 주재자로서의 위격을 지니고 있는 상제라고 자처한다. 그럼에도 스스로를 ‘미륵불’이라 하여 종교적 각성을 한 증산 자신을 알릴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비유를 미륵불에서 찾고 있다. 여기에는 민중에게 익숙한 미륵신앙을 통해 후천의 도래를 선포하고자 하였던 증산의 의도가 깔려 있다. 증산이 제시한 후천은 상제로서 가지는 권능과 함께 인간의 의지적인 노력, 즉 수양이 강조된다. 상제는 인간으로 하여금 외경의 자세를 지니게 함으로써 인간의 도덕성 실현과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수양주체는 주체성 확보의 근거를 상제에다 두게 되는 것이다. 상제를 주체성 확보의 근거로 두었기 때문에 인간은 선의지를 행해야 하지만 인간은 선악이 혼재하는 현실 속에서 갈등하는 존재이다. 자율적 의지로서의 마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수양주체인 인간은 끊임없는 수양을 통해 인욕에 흔들리지 않는 확고부동한 선의지를 함양해야 한다. 증산 수양론에서 택선(擇善)하기 위한 마음공부로 성경신 삼요체(三要諦)를 들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미륵불로서의 상제와 주체성 확보 근거
 3. 자율적 의지로서의 마음
 4. 마음공부를 위한 삼요체로서의 성ㆍ경ㆍ신과 훈회의 실천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주 Kim, Yeong-Joo. 대진대학교 종교문화학과 조교수
  • 윤재근 Youn, Jae-Keun. 대진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