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개성유수(開城留守)의 기록에 나타난 송도와 한양 문인의 역사 인식

원문정보

Historical Recognition by Songdo and Hanyang writers about Songdo in the late Joseon

노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focus on how the histogrical recognition by Songdo and Hanyang writ-ers interact and develop through the records written by the officials of Gaeseong(開城留守). Main texts include Song-do-gi-yi(松都奇異), which is about the records published by Yi Duck Hyung(李德泂) in 1631 and other official records repeatedly published by Gaeseong officials until the 19th century since Kim Yuk(金堉) published Songdo-ji(松都誌) in 1647. These works contrast as personal versus official publication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common in that they were the records of Songdo made by Hanyang writers. Songdo being the capital of Corea for 500 years, the record of the city inevitably contains the history of Corea; thus, the records of Songdo can be considered to be the record of Corean history. Through these records, each writer exhibits one’s own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events. In this study, I describe how the stories in Songdo were transformed and transmitted in the hands of Hanyang writers, in the examples of (1) the issue about the legitimacy of the last Corean kings, the King U(禑王) and the King Chang(昌王), and (2) the record of the loyal official, “Dumun-dong(杜門洞) Seventy two Sages”.

한국어

본고는 ‘개성유수(開城留守)’의 송도에 대한 기록들을 중심으로 이 기록들의 편찬과 전승 과정에서 송도문인과 한양문인의 역사 인식이 어떻게 소통하고 충돌하고 조정되는지에 대해 주목한 것이다. 본고의 주요 대상 자료들은 17세기 이후 개성유수들의 기록물로 사적 기록물은 1631년 송도에 부임한 이덕형(李德泂)이 편찬한 송도 설화집 『송도기이』가 있으며, 공적인 기록물은 1647년 부임한 김육(金堉)의 「송도지」를 필두로 19세기 중엽까지 개성유수들 주관 하에 여러 차례 증보·간행된 송도읍지들이 있다. 이 자료들은 각기 ‘심심풀이로 쓴 개인 기록물’과 ‘송도의 연혁을 담은 공식 기록물’이라는 대비적 성격을 지니면서도, 결국 ‘한양관료의 주관 하에 편찬된 송도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500년간 고려의 수도였던 송도의 기록은 필연적으로 고려의 역사를 담고 있기에, 송도의 기록은 결국 고려의 역사를 기록하는 작업의 일환이 된다. 이에 같은 사건에 대해 각자의 처지와 입장에 따라 다양한 관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고려의 마지막 왕 우왕과 창왕의 정통성 문제와 고려의 마지막 충신 두문동 72현에 대한 기술을 중심으로 송도에 떠도는 이야기들이 한양문인들이 기록에 담기는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전파되며 후대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게 되는지에 주목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송도 설화의 유통과 전승
  1. 이덕형의 『송도기이(松都奇異)』 편찬
  2. 송도 설화의 한양문단으로의 유통과 전승
 Ⅲ. 송도읍지의 편찬과 역사 인식의 변화
  1. 송도읍지의 편찬과 간행 경위
  2. 역사 인식의 차이와 기록의 변화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노경희 Rho, Kyung-Hee.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