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전기 개성과 한성의 관계 (1) - 점으로 보기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Gaeseong and Han-seong in the early Joesen dynasty (1), examined from a perspective viewing them as ‘points’

장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ies of Gaeseong and Han-seong, in the terms of ‘points’. Goryeo’s old capital Gaeseong, and Joseon’s new capital Han-seong, can both be conceptualized as ‘poi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could be conceptualized as a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ose points.’ In order to clear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cities, the historical truth of the narrative of Gaeseong’s discrimination was reviews ahead, which has made the typical image of Gaeseong.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previous assumption (which had prevailed since the Joseon period’s latter half ) that the Gaeseong city was discriminated by the Joseon govern-ment (as we could supposedly see from the Dumun-dong massacre and the alleged pro-hibition on Gaeseong resident’s application to the dynastic competitive exam), and that discrimination in fact ironically contributed to the Gaeseong area’s commercial successes, had very little to do with practical facts. In the early Joseon dynasy, the relationship of Gaeseong and Hanseong was reviewed into 3 period division. The division point of (1) & (2) period is 1438, which Gaeseong-Yuhusa/開城留後司 changed to Gaeseong-bu/開城府. (3) period begins with abound King Seongjong era, when System of Gyeonggukdaejeon was established. (1) period: Most population of Gaeseng move to Hanseong or their respective home-towns, leaving the Gaeseong area with a smaller population. Gaeseong still has the priorities as an old Capital cities, but shranks rapidly because of population outflow. (2) period: As a result, Gaeseong was changed into the level of local administration actu-ally by losing its priorities, while Hanseong held a dominant position. (3) period: It became clear that the symbolic image of Gaeseong-Old capital city does not match the true the city status. But the awareness of this crisis made Gaeseong people allege “locality”,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 and symbolic image of the old Capital city Gaeseong. Meantime, central officials found Gaeseong’s historical assets with great con-cern, whereas not estimating the city Gaeseong so much highly. In this cross point of Cen-tral and Local, the categorizaion of “Local Gaeseong” can be evolved.

한국어

이 글에서는 조선 전기 개성과 한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먼저 개성인들이 건국에 대한 반대로 소외되어 왔다는 설화의 역사적 진실성을 검토하고, 개성과 한성을 점 대 점의 관계로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개성 소외 설화를 검토한 결과, 태조대부터 태종대까지 개성에 천도해있던 동안 정기적으로 과거가 실시되었으며, 충분한 액수의 인원들을 선발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종대 개성 천도가 단행된 것으로 보아도, 개성이 건국층에게 적대적인 분위기였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두문동 은거 설화는 18세기 이후 폭발적으로 조상의 현창과 함께 유포되었으며, 실제 거론된 인물들의 당시 행적을 보면 지방의 자기 근거지로 낙향하는 등, 설화들 대부분은 조선 전기의 실제 상황에 부합하지 않았다. 건국 후 개성과 한성의 관계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보았다. 1438년(세종 20)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를 (1)과 (2)시기로, 성종대 이후를 (3)시기로 보았다. 이는 제도적 변화를 기준으로 한 것인데, 1438년(세종 20)은 開城留後司에서 留守를 장으로 하는 開城府로 변화한 시점이다. (3)성종대 이후는 『經國大典』 체제가 자리잡은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시기에 따른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시기는 수도가 한성으로 전이됨에 따라 인구가 급속도로 유출하였다. 제도적으로는 개성을 옛 수도로서 한성과 같은 범주에서 다루는 방식으로 매우 우대하였으나, 실제 도시적 차원에서는 인구 유출로 인해 급속히 세가 축소되었다. (2)시기는 그 결과 개성부의 위상이 격하되며 이전의 우대책이 혁파되거나 재조정된 시기였다. 그에 비해 한성은 개성에 대해 확실한 우위를 다져갔다. (3)시기는 (1)~(2)시기의 결과 개성이 옛 수도라는 상징적 의미와 도시 규모의 실제가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분명해진 시기였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의식은 개성인들에게 ‘개성인’으로서의 자각을 가져오는 바탕이 되었으며 “옛 수도”라는 상징적 의미는 그 자각의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었다. 중앙에서는 개성의 도시 규모와 수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역사도시로서 개성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 지점에서 중앙과 개성의 인식이 교차하면서 “로컬 개성”의 범주화가 가능해졌으며, 16세기 “개성 지식인”, “개성 상업” 등이 진작되는 새로운 분위기로 계승될 수 있었다.

목차

Ⅰ. 들어가며 - 점으로 보기
 Ⅱ. 개성 소외 설화의 역사적 진실성
 Ⅲ. 점과 점 - 15세기 개성의 空洞化와 16세기의 변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장지연 Jang, Ji-Yeon.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