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발굴조사의 최신 조사성과

원문정보

Gaeseong Goryeo royal palace Gaegyeong capital city survey results

박성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aejo Wang Geon of Goryeo in 918, adopted in Cheorwon, took the throne following year, after the September 19 years his base, moved to the capital gaegyeong. At the time the palace is previous estimated to have been managed based on the castle. Gwangjong of calamity happeneded emperor was suited to the empire expands to the scale since the year 950 and palaces. The kitan After the war the King Heonjong’s reign, returning to gaegyeong gaegyeong destroy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ree years as capital through the reconstructed for nearly four years since recovered, and its former selfFigure made it sufficiently clear. A royal palace eun gyeonghyowang (gongminwang) (1361) 10 years, in-vading Red Turbans gyeongnyeongjeon in second after passing through the invasion of its pavilions as a focal point and used until 1392. A royal palace for the joint consideration is being carried out excavation from 2007. And finding out the use of the space and the building of Central West for a ceasefire first, military deployment. Second, topographic contour lin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build parallel to the embankment and set building. Third, all us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o excavate the sites for a royal palace from the Goryeo Dynasty, tile can be made of a clear chronology for standards.

한국어

고려 태조 왕건은 918년 철원에서 왕위에 오른 뒤 다음 해인 919년 자신의 기반인 송악(개경)으로 수도를 옮겼다. 건국 당시의 궁궐은 이전부터 사용되어지던 발어참성을 기반으로 이루어 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광종이 즉위하던 해(950년) 부터 궁궐은 황제국에 걸맞은 규모로 확장되었다. 거란과의 전쟁 이후 개경으로 환도한 현종은 2년(1011년) 10월부터 5년(1014년) 정월까지 3년 이상에 걸친 공사를 통해 거란에 의해 파괴된 개경을 본래 모습으로 복구했으며, 11년(1020년) 8월부터 14년(1023년) 8월까지 4년에 걸친 중건을 통해 수도로서의 면모를 보다 확실하게 하였다. 궁성은 경효왕(공민왕) 10년(1361) 홍건적의 2차 침입을 거친 뒤에도 경령전 등의 전각을 중심으로 1392년까지 사용되었다. 지난 2007년부터 개성 고려궁성에 대한 남북공동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성과는 첫째, 정전(건덕전=천덕전=대관전)을 중심으로 하는 궁성 서부건축군의 건물배치 및 공간활용 양상이 규명되었다. 둘째, 경사지에 자리한 궁성의 지형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원지형을 최대한 활용하여 등고선과 평행한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건물군을 자리하게 하는 동아시아의 일반적인 궁궐과 다른 고려궁성만의 독특한 축조 방식을 선택하였다. 셋째, 강화천도 기간을 제외한 고려시대 전 시기동안 사용된 궁성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기와에 대한 명확한 편년의 기준안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되었다.

목차

Ⅰ. 개성 고려궁성의 변천과정
 Ⅱ.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발굴조사 현황
 Ⅲ.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발굴조사의 성과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박성진 Park, Sung-Jin.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