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초자치단체 일자리사업 추진체계 현안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Some Issues for Public Funded Job Programs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김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with practicing professionals in all 227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this paper studies on specific issues for public-funded job programs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addresses critical issues of the implement systems including main strategies of job creation, statues of job programs, strength and weakness of job programs in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lso this study discusses th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public-funded job programs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227개 기초자치단체 일자리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실태조사에 근거하 여 기초자치단체 일자리사업의 추진실태와 현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조사는 주로 기초자치단체 일자리 사업 추진체계(전담인력 규모, 자치단체장의 관심 등), 자치단체 내 일자리사업의 위상(일자리사업의 중요 도, 직원의 일자리사업 선호도), 일자리사업 전략(일자리창출 중시 수단, 전략산업육성과 일자리사업 간의 관계), 일자리사업의 성과와 한계(사업별 일자리사업 평가, 일자리사업 추진 상의 어려움 등) 등을 다룬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치단체 일자리사업 담당부서의 위상이 강화되고 전담인력 에 대한 인센티브가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자리사업 담당 공무원에 대한 포상 및 보상체계가 구비되 어야 한다. 둘째, 예산부족으로 독자적 일자리사업을 추진할 수 없다는 기초자치단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자치단체 간 일자리사업 예산 배분 방식의 변경이 필요하다. 중앙정부가 일자리사업 예 산을 묶어서 자치단체에 교부하고, 자치단체는 자율적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 사업을 개발하여 추진 하는 것이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자치단체 공무원의 역량제고와 전문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지 역고용사업의 모니터링과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평가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목차

논문초록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Ⅱ. 실태조사 개요
  2.1 조사 목적 및 조사 내용
  2.2 조사 결과
 Ⅲ. 기초자치단체 일자리사업의 위상과 전담인력 현황
  3.1 일자리사업 전담인력
 Ⅳ. 기초자치단체 일자리사업 추진실태
  4.1 기초자치단체에서 일자리사업의 위상
  4.2 기초자치단체의 일자리창출 전략
  4.3 일자리사업 추진 상의 어려움
 Ⅴ. 요약과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준영 Kim JoonYoung. 한국고용정보원 연구개발본부 일자리사업모니터링센터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