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성구인ㆍ구직 특성 및 인력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search over Characteristics of Female Job Searching, Hiring, and Plans to Utilize Their Employment - Centered around Jeonbuk Region

조경욱, 임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olv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mployment imbalance occupies a very important part in generating employment in that not only hidden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identified but also future employments can be predicted. Furthermore, there is a greater need for research over hiring and job searching in that, by preparing a resolution plan for employment imbalance appropriate for the region, foundations for policies to hire females can be established and the efficiency of female employment can be improved. As such, this research subjected corporations and non-employed females in Jeonbuk region to research hiring and job searching situations, compare and review causes and factors leading to imbalance in hiring and job searching, and present policy alternatives to alleviate employment imbalance. The causes for imbalance in hiring and job searching are as follows: First, for hiring locations, they were seeking to hire primarily for small-scale manufacturing and simple repetitive tasks, leading to mismatch with job seekers. Second, for job searchers, there was significant over-qualification as females in their 40s with advanced academic degrees were mainly receiving employment training. Thir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for female employment training institutions which linked hiring businesses and job searchers, there were functional shortcomings and limited utilization of methods to identify jobs and job searchers. Detailed policy alternatives were presented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ncluding ways to resolve mismatch between tasks and businesses, reduce information mismatch, and lessen the lack of training.

한국어

양적 및 질적 고용불일치 해소는 숨어있는 일자리를 찾아줄 뿐만이 아니라 미래에 필요한 일자리까지 전망해준다는 점에서 일자리 창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에 적합한 고용 불일치 해소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역의 여성고용정책 수립의 근간을 마련하고 여성취업교육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구인․구직조사의 필요성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라 북도에 소재하는 기업과 미취업 여성을 대상으로 구인․구직 실태를 조사하고 구인․구직간의 불일치가 나타나는 현상과 요인을 비교, 검토함으로서 고용불일치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인․구직의 불일치 요인으로는 첫째, 구인처의 경우 소규모 제조업과 단순노무직 위주의 구인으로 인하여 구직자간의 직종불일치가 컸으며 둘째, 구직자의 경우, 고학력의 40대 경력단절 여성이 주로 직업 교육을 받는 등 인력양성의 편중이 심각하였고 셋째, 구인처와 구직자를 잇는 여성취업교육기관의 기능 미흡과 구인구직자의 발굴경로에 대한 제한과 활용 등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 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는 업종과 직종불일치 해결방안, 정보불일치 해결방안, 숙련불일치 해 결방안 등에 대한 세부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논문초록
 Ⅰ. 서론
 Ⅱ. 전북지역 여성인력활용 현황과 특징
  1.1 전라북도 산업체 현황 및 근로자의 성별구성
  1.2 전라북도 여성취업구조의 특성
 Ⅲ. 전북지역 여성인력 구인ㆍ구직 분석 결과
  3.1 구인ㆍ구직 실태조사 범위와 조사방법
  3.2 여성인력 구인ㆍ구직불일치 현황
  3.3 여성인력 구인ㆍ구직불일치 요인분석
 Ⅳ. 결론 : 구인ㆍ구직불일치 개선방안
  4.1 업종과 직종불일치 개선방안
  4.2 정보불일치 개선방안
  4.3 숙련불일치 개선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경욱 Cho Kyoung-Wook.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원
  • 임지원 Lim Ji-Won.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