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통근 여부를 이용한 지역간 노동이동의 영향변수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Influence Variable of Regional Mobility Using Commute

남기성, 황기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commuting across regions based on addresses of home and workplace. To do so, the study employ microeconometric methods, such as logistic model. Results show that people who are male, 20's, married with spouse, and of doctoral degree tend to commute across regions. In addition to such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ople in occupations which are characterized with decent jobs also tend to commute relatively longer wa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overnment need to design employment and industrial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ition of job seekers' characteristics.

한국어

본 연구는 산업․직업별고용구조조사 데이터에서 거주지와 직장 주소를 바탕으로 어떤 속성을 가진 사 람들이 원거리 통근을 선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산업과 직업 및 노동속성에 따른 거주지와 직장 주소의 일치 여부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여성, 연령이 적을수록, 이혼, 중졸이하, 자가소비활동, 농림어업 관련직, 비임 금근로자, 일용근로자 등이 거주지와 직장의 지역 동일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 었 다. 또한, 로짓분석에서는 각각의 기준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교차분석과 비슷하게, 남성, 20대, 기 혼 유배우, 박사 그리고,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관리직, 임근근로자, 상용근로자, 월 평균 500만원 초과, 근속년수 5년 이하에서 불일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지자체가 육성산업 등을 지정할 때 지역의 노동속성, 특히 거주자의 직업이동의 동기 등을 면밀하게 파악해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 주민의 통근 및 직업이동의 경향 등을 파 악한다면, 이들의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지역의 토착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게 될 것 이다.

목차

논문초록
 Ⅰ. 서론
 Ⅱ. 분석 데이터
 Ⅲ. 지역간 노동이동자의 현황
  3.1 인구통계적 속성
  3.2 직ㆍ산업별 노동이동 분석
 Ⅳ. 지역간 노동이동의 로짓분석
  4.1 사용변수 및 분석 방법
  4.2 로짓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기성 Ki-Seong Nam.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대책모니터링센터 연구위원
  • 황기돈 Ki-Don Hwang.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