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대학 교양교육과 의사소통 교육 모델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대학글쓰기 교육 모델 연구 - 영화평 협동글쓰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 focus on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황영미, 이재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ducat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into smart education environment. Nevertheless, following contents and models of education are not various enough and underutiliz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w education model for college writing education to ease the problem. Since students are more familiar with visual media, the most effective format of writing education could be film review. In this sense,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ggest smart education model through film review writing. A film review can be written in individual, but it can create better effectiveness by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compares two different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one in off-line environment and the other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In off-line education environment, students work through crossing correction. In this case, only students in the same group can share their works while the whole class can share the works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study proposes 4 step-model for collaborative film review writing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model premised upon the condition that students see the film text before the class. The first step is checking attendance and answering to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using Clickers. For second, students solve pop-quiz which consists of subjective questions. The questions a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lass. Third, the instructor leads students to brainstorm using Kakao Talk group chat. In this step, the instructor first suggests one or two topics that can help students to participate in chat. Then let students raise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questions by their own. Kakao Talk group chat enables longer conversation and later helps the class share group members’ replies. In class, instructor shares answers for the questions or quiz, and Kakao Talk chat room through screen. Using this, instructor can eval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film text and class. Add on that, students can compare their answers which helps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xt. Lastly, complete a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using Google Doc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film review writing on Room (2015), directed by Lenny Abrahamson, through crossing correction and the case of collaborative film review writing on Poetry (2010), directed by Chang-dong Lee, using smart devices. Through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the latter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in collaborative learning. The study has a significance in introducing new education model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case using film and smart devices.

한국어

교육환경은 스마트 환경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교육콘텐츠나 교육 모델은 다양하게 개발되지 않아 실제 활용도는 낮은 것이 문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스마트 환경에서의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상세대인 요즘 학생들에게 글쓰기 교육에서 가장 효과적인 유형은 영화평 쓰기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영화평쓰기를 통한 스마트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화평은 개인으로 쓸 수도 있지만, 협동학습으로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프라인으로 하는 영화평쓰기 협동학습과 스마트환경에서로 구분하여 접근하여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오프라인의 경우 영화평을 완성하여 조별로 서로 교차첨삭을 하면서 협동학습을 하는 경우인데, 조원끼리는 공유되지만 전체 수업에서 공유되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스마트환경에서는 전체 공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환경 조별 협동 영화평을 쓰기까지 총 4단계로 진행되는 모델을 제시한다. 학생들은 각자 해당 영화텍스트를 보고 수업에 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첫 단계로 수업 시 출결체크와 함께 클리커를 활용하여 객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쓴다. 두 번째 단계로 수업에서 교수자가 설명한 내용을 팝퀴즈를 통해 주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쓴다. 세번째 단계로는 카카오톡 조별 채팅방을 교수가 개설하여 영화평을 쓰기 위한 브레인스토밍을 유도한다. 이 때에 생각해 볼 문제 한 두 문제를 먼저 제시하여 채팅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학생들이 자유롭게 문제도 제시하고 답을 쓰게 한다. 카카오 톡 조별 채팅은 팝 퀴즈보다 조금 더 긴 글로 대화를 하면서 조원들의 답변을 함께 볼 수 있다. 교수자는 전자교탁 pc버전으로 객관식 및 주관식의 모든 답이나 카카오 톡 채팅방 전체를 스크린을 통해 한꺼번에 학생들과 함께 공유하며, 영화 텍스트 이해도와 수업 내용 이해도 평가가 가능하다. 학생들도 동료들의 답과 자신의 답을 비교해 보며 텍스트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로는 구글문서를 활용하여 협동영화평쓰기를 조별로 1편 완성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유형으로는 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의 영화 『룸』을 보고 영화평 쓰기 수업과 동료교차 첨삭을 한 협동학습 사례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유형으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의 협동영화평 쓰기를 비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논문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영화를 통한 협동글쓰기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교육방식을 모색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목차

1. 머리말
 2. 오프라인에서의 영화평 쓰기 협동학습
 3. 스마트 환경에서의 글쓰기 교육 방법
 4.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협동 영화평 쓰기 교육 모델
 5.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황영미 Hwang,YoungMee.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 이재현 Lee, JaeHyun. 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