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2 : 지리산 불교와 화엄사상

科圖와 私記를 활용한 看經法 - 봉선사 능엄승가대학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Way to Read Sutras Using Diagram and Individual Commentary - Focusing on the cases of Neungeom Sangha Graduate School, Bongseon Monastery -

과도와 사기를 활용한 간경법 - 봉선사 능엄승가대학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선화(선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is a way to read sutras using Diagram (科圖) and Individual Commentary (私記) - methods transmitted from traditional education institutes of Korean Buddhism. These materials are significant guides that let us read sutras that penetrate the context in its role as compass. The Neung’eom Sangha Graduate School of Bongseon Monastery has kept this way of reading sutras. Sources from published Diagram Collections and Individual Commentaries are kept as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Individual Commentary. Most of the existing Buddhist Individual Commentaries are upon the text of 履歷課程, the Sangha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se are the individual commentaries on the greatest pages related to the lineage of Yeondam Yuil (蓮潭 有㊀) who held lectures at Daedun Monastery, Haenam district. Commentaries are also on the lineage of In’ak Euiso (仁嶽 義沾) who worked in the Yeongnam district during the same period. These were transmitted to the Honam and Yeongnam districts and made Buddhist studies more prevalent. Individual Commentaries scattered all over the nation are not in good condition; most of the caseshave been transmitted by manuscript. Therefore, we have numerous tasks to complete: collecting and classifying material from the original text, reading and correcting texts, comparing original texts with other texts, and translating after collecting and editing sources, et cetera. These tasks are not to be done by a single person but by the effort of Community members through the reading of original sutras. In order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Record asset the way to read Sutras needs to be kept and transmitted.

한국어

한국불교의 전통교육기관에서 내려오던 방식으로 科圖와 私記를 활용한 간경법이 있 는데, 이들 자료들은 나침반을 가지고 전체를 꿰뚫으며 경전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지침서 들이다. 봉선사 능엄승가대학원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을 활용한 간경법을 유지, 계승하면 서 科圖集과 여러 사기류를 간행하였으니, 이는 사기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것이었다. 현존하는 불교 사기들 중에 가장 많은 분량을 남긴 사기로는 해남 대둔사에서 강석을 펼친 蓮潭 有一 계통이며, 동시대 인물로 영남에서 활동한 仁嶽 義沾 계통도 전해오면서 각각 호남과 영남에 전승되어 불교 교학이 더욱 성행하게 되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사기들을 수집해서 계통별로 분류하고 善本을 가리며, 脫草해서 整書하는 문제, 저본과 대조본들을 비교하는 문제, 會編해서 번역하는 문제 등 산적한 과제가 남아 있다. 이는 한 사람의 노력이 아닌, 해당 原典의 강독을 통해서 집체적 공동작업이 필요하며, 전통기록 유산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간경법의 유지, 계승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조선후기 私記의 출현과 양상
  1. 이력과정과 私記 저술의 성행
  2. 私記의 현황과 간행 사례
 Ⅲ. 봉선사 능엄승가대학원의 간경법
  1. 科圖 읽는 방식
  2. 私記 간경법 예시
  3. 私記 회편의 사례와 필요성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별첨 <天字卷(玄談)의 科圖>

저자정보

  • 이선화(선암) Lee, Seon-hwa.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