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Kindergarten Information Disclosur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uggestions for an effective kindergarte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by examin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kindergarten information disclosure.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191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Gyeonggi and Incheon provi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adequacy of items and adequacy of contents and management on kindergarten information disclosure appeared regardless of the type of institutions.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were revealed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Third,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the adequacy of items and reliability on the information disclos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 of the teacher. Fourth,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adequacy of items, the reliability and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disclos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disclosure duties of teacher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the adequacy of items, reliability and problems of information disclosure in accordance with the access experience to the disclosure web sit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유치원정보공시제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 소재 공․사립유치원 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M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기관유형에 따라 정보공시의 이해, 항목 및 내용․운영의 적절성, 신뢰도, 문제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경력에 따라 정보공시에 대한 이해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학력에 따라 정보공시에 대한 이해, 항목의 적절성, 신뢰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공시 관련 업무에 따라 정보공시에 대한 이해, 정보공시 항목의 적절성, 정보공시의 신뢰도, 정보공시의 개선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공시사이트 접속경험에 따라 정보공시의 이해, 항목의 적절성, 신뢰도 및 문제점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분석방법
4. 연구절차
Ⅲ. 연구결과
1.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교사 인식
2. 경력에 따른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교사 인식
3. 학력에 따른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교사 인식
4. 공시관련업무에 따른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교사 인식
5. 공시사이트 접속경험에 따른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교사 인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